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 사상 : “버리고 떠나기(Abgeschiedenheit)” 이론과 실천의 상관성 연구
Meister Eckhart’s Mystical Thought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Letting-go(Abgeschiedenheit)”
- 주제(키워드)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 그리스도교 신비주의 , 맥락화 기법 , 신비 해석학 기법 , 지성적 디오니시오 해석 , 신비 이론 , 신비 실천 , 가난 , 버리고 떠나기 , 그대로 놓아두기 , 돌파 , 영혼 안에 아들의 탄생 , 참된 인간 , Meister Eckhart , Christian Mysticism , Contextualization Technique , Mystical Hermeneutics , Intellectual Dionysianism , Mystical Theory , Intellect , Pure Nothingness , Mystical Practice , Poverty , Letting-go , Letting-be , Break-through , Birth of Son in the Soul , True human being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병관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007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7/28) 신비 사상의 한 중심주제인 “버리고 떠나기” 사상에 내포된 이론과 실천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에크하르트는 중세 독일 도미니코회의 지적 전통을 이어받은 이론가로 신론, 지성론 등 신비 이론을 가르친 “가르치는 스승”이었으며, 그 당시 여러 수도원의 수도자들과 평신도 베긴 공동체 여성들에게 “버리고 떠나기”를 중심으로 하는 신비 실천에 대해 설교하며 가르친 “삶의 스승”이었다. 논문은 우선 중세 도미니코회 탁발 수도회 생활에서 태동한 에크하르트의 “버리고 떠나기” 사상의 맥락적 이해를 위해 그 역사적 맥락과 사상사적 맥락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에크하르트가 제시한 “버리고 떠나기” 사상의 이론과 실천이 당시의 복음적 가난의 실천 운동과 또한 그가 파악한 당시의 영적 문제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탐구한다. 특별히 에크하르트의 “버리고 떠나기” 신비 사상이 복음적 가난의 실천에 기반한 “사도적 삶”을 방해하는 “집착”이라는 당시의 영적 문제에 대한 그의 사목적 응답이었음을 밝힌다. 논문은 더 나아가 에크하르트에 영향을 끼쳐 그의 “버리고 떠나기” 신비 사상의 사상사적 배경이 되어준 것으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서 기인한 지성적 디오니시오 해석 전통과 알베르투스에서 기원하고 프라이베르크의 디트리히에 의해 계승 발전된 독일 도미니코회의 지성론 전통에 대해 논구한다. 논문은 다음으로 이러한 맥락 안에서 탄생한 에크하르트의 “버리고 떠나기” 사상에 내포된 이론과 실천의 상관성 문제를 자세히 탐구한다. 우선 에크하르트의 “버리고 떠나기” 신비 사상에 핵심적인 이론적 요소들로서 첫째로 그의 신론의 주제들 중 특히 지성과 무로서의 신에 대해 논하고, 둘째로 그의 영혼론에서 논구된 지성의 다섯가지 특성 곧 분리성, 무성, 순수성, 능동성 및 모상성에 대해 논한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에 대한 고찰을 배경으로 하여 “버리고 떠나기” 실천 수행을 검토하는데 “버리고 떠나기” 실천이 “그대로 놓아두기” 수행을 통해 신성으로의 “돌파”로 이어지는 점진적 심화과정임을 보인다. 그리고 그 삼중적 과정이 특히 에크하르트의 가난 사상과 관련하여 볼 때 “무-의지”, “무-지”, “무-소유”라는 점진적인 포괄적 가난 수행과 대응하여 해명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와 더불어 이렇게 이해된 “버리고 떠나기” 수행의 철학-신학적인 이론적 근거가 특히 지성과 무로서의 신 그리고 지성의 다섯가지 특성에 관한 에크하르트의 사상에 있음을 함께 논구함으로써, “버리고 떠나기” 신비 사상에 내포된 이론적 요소들과 실천적 측면 사이의 밀접한 상관 관계의 정확한 성격을 해명하여 보인다.
more초록/요약
The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cor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mplied in a central theme of Meister Eckhart’s mystical thought, namely, “letting-go(Abgeschiedenheit)”. Eckhart was, on the one hand, a “master of learning(Lesemeister)” who, inheriting the medieval German Dominican intellectual tradition, taught mystical theories such as doctrines of God and intellect. On the other hand, he was also a “master of living(Lebemeister)” who preached and taught mystical practice centered on “letting-go” to the religious and beguines of his time. The thesis, first, seeks to understand Eckhart’s thought of “letting-go” emerged in the medieval Dominican mendicant life, by considering it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in the history of thought as well. It, therefore, investigates into what correlation Eckhart’s thought of “letting-go” in theory and practice does have with renewal movements based on evangelical poverty and particularly with spiritual problems of his time that were discerned by Eckhart. Thus, it shows that Echkart’s mystical thought of “letting-go” was his pastoral response to the spiritual problem of his age, that is, “attachment” as hindrance to “apostolic life(Vita Apostolica)” that was to be based upon the practice of evangelical poverty. The thesis also explicates the background in the history of ideas for Eckhart’s mystical thought of “letting-go.” It, thus, considers the intellectual Dionysianism originated from Albertus Magnus and also the German Dominican tradition concerning the doctrine of intellect that was initiated by Albertus and inherited and further developed by Dietrich of Freiberg. The thesis, then, moves on to investigate in a detailed fashion into the issue of cor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Eckhart’s thought of “letting-go”. Coming to core theoretical elements of Eckhart’s thought of “letting-go”, it discusses, first, relevant themes of Echkart’s doctrine of God, especially God as Intellect and Nothingness, and, second, fiv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 explicated in Eckhart’s doctrine of soul, that is, ‘separation’, ‘nothingness’, ‘purity’, ‘activeness’ and ‘image of God’. Under the backdrop of this consideration of theoretical foundation of “letting-go”, the thesis continues to show that the practice of “letting-go” is a gradual process that deepens into “letting-be(Gelassenheit)” and, through it, eventually comes to “break-through(Durchbruch)” into Godhead. At the same time, it argues that, considered in relation to Eckhart’s thought on poverty(Armut), this threefold process could be correlated with a gradual practice of comprehensive poverty, that is, ‘non-wanting’, ‘non-knowing’ and ‘non-having’. In all this, then, the thesis attempts to show that the philosophico-theological theoretic ground of the practice of “letting-go” lies especially in Eckhart’s thought on God as Intellect and Nothingnes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 In this way, the thesis shows the exact nature of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oretical elements and practical aspects in Eckhart’s mystical thought of “letting-go”.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