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경험이 VR 게임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or Similar Experience on Presence of a VR Gam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초록/요약
본 연구는 VR 게임과 유사한 타 매체의 기술적·콘텐츠적 경험이 VR 게임의 실재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유사경험이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게임 이용자인 25~45세 사이의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플레이테스트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VR 게임 <건잭>을 플레이한 후 해당 게임과 기술적·콘텐츠적으로 유사한 타 매체의 경험 정도와 해당 게임의 플레이에 대한 몰입과 실재감의 정도를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사경험이 공간적 실재감과 긍정감정 자기실재감, 그리고 확장된 자기실재감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유사경험과 실재감 사이에서는 몰입의 매개효과가 발견되었으며 유사경험과 몰입은 부적 상관관계를, 몰입과 공간적 실재감 및 긍정감정 실재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타 매체의 유사경험이 VR 게임의 실재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 관계에 있어서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prior similar experience of a VR game through other media could affect on presence of a VR game. This paper is also aimed at empiricall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in regards to how presence of a VR game is influenced by prior similar experience. To this end, the playtest was conducted on 50 game users ranging from 25 to 45 who had prior similar experience of Gunjack, a VR arcade shooting game wearing the Samsung Gear VR.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laytest, the playtesters are asked to complete a series of questionnaires about the amount of time spent in prior similar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flow and presence experienced in the ga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Prior similar experience decreased spatial presence, positive emotion-level self-presence, extended self-presence. In addition, Prior similar experience was meditated by flow. Prior similar experience decreased flow and flow increased spatial presence, positive emotion-level self-pres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