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신자의 탈교회화 과정연구 : 한국 개신교 사례 분석
Research of Church Exit Process in Korean Young Christianity: Analysis of Protestant Case
- 주제(키워드) 청년 신자 , 교회 이탈 , 세속화 , 사사화 , 종교시장 , 합리적 선택론 , 수평이동 , 교회성장 , 가나안 성도 , Korean youth Christianity , exit from church , secularization , privatization , religion market , rational choice theory , circulations of the saints , church growth , unchurched believe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오세일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006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한국 개신교 신자의 감소와 교회 이미지 하락이라는 위기 속에서 본 연구는 청년 신자가 교회를 이탈하는 사회적 현상을 종교사회학에서 말하는 세속화 논쟁의 일환으로서 개인과 조직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종교시장 안에서, 사사화를 통한 개인적 수준의 세속화 및 종교 시장론을 통한 사회집단적 수준의 세속화가 다양한 양상을 띠며 진행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신자의 교회 이탈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개인과 조직적 차원의 연구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조직적 차원에서 교회 공동체를 ‘엄격함’과 ‘관대함’이라는 특성으로 분류하기 위해 딘 켈리가 제시했던 개념을 이용하여 ‘교파의 성격’, ‘규율의 정도’, ‘의사소통의 성격’, ‘목회의 지향점’의 네 가지 측정 요소를 설정하였다. 둘째로 개인적 차원에서 청년 신자가 교회를 이탈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허쉬만의 ‘이탈’, ‘항의’의 메카니즘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 속에서 보다 세부적인 청년 신자의 행동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충성’과 ‘무관심’이라는 행위모델을 추가하였다. 여기서 각 행위마다 이탈의 주요 원인도 달라진다고 보았으며, 이탈 후 모습도 제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주로 엄격함의 특성을 가진 교회 속에서 청년 신자들은 개인의 신앙에 집중하여 ‘충성’을 하거나 소극적인 ‘항의’를 하고 있으며 냉담함과 익명의 모습이 내재된 ‘무관심’의 종교 행위 또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탈 요인의 경우, 충성-이탈은 주로 교회 외부적인 것에 의해서, 항의-이탈은 교회 내부적인 불만에 의해서, 무관심-이탈은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상황적 요인이나 종교적 보상이 불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탈 후 청년 신자들은 두 가지 행위 전략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탈-무관심-충성의 과정을 통해 교회를 ‘수평이동’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무등록 교인이나 ‘가나안 성도’와 같이 소속되지 않고 신앙생활을 하는 이탈-무관심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엄격함의 교회적 특성에서 청년 신자의 이탈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 논리적인 분석틀을 제시함과 동시에 세속화의 측면에서 청년 신자가 교회조직을 어떤 요인으로 이탈하게 되는지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초록/요약
As the Korean church faces a crisis of declining membership and reputation,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societal phenomena of young Christian men and women leaving their churches by comparing two different theories regarding the secularization issue in the sociology of religion. By investigating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theorie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hristianity has actually declined among Korean young adults, I assumed an individual level of secularization through privatization and societal level of secularization through religious market theory to already be underway in the Korean religion market. In order to analyze the exit process of young Christian adults,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framework based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theories. To classify the Korean church commun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rictness” and “leniency,” I preset four indicators based on Dean Kelly’s concepts: “property of denomination,” “degree of regulation,”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ministry outlook.” To identify the reasons why young Christians leave the church on an individual level, I applied Hirschman’s mechanisms of “exit” and “voice” and added two behavioral models of “loyalty” and “indifference” in order to specify behavioral pattern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causality of exit differs in each of the four behavioral patterns. Afte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phenomena, I found several behavioral patterns among young Korean Christians. In a church characterized by “strictness,” they tend to show “loyalty” towards the church focusing on their own individual faith, or to show “voice” but defensively. Others showed a pattern of “indifference” involving a callous attitude and anonymity in the church community. As a result, the main causes of exit differ based on each behavioral pattern; loyalty-exit arises from external factors of the church, voice-exit arises from internal discontent, and indifference-exit arises from the situational factors of lack of personal time and dissatisfaction with religious compensation. After exit, young Christians demonstrated two behavioral patterns. They often displayed “circulation of the saints” among churches through an exit-indifference-loyalty process, or exit-indifference behavior by emerging as a “unchurched believer” or non-registered church member. This paper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showing the framework of exit of Korean youth Christianity in “strict” churches and specifying the causal factors of young Christians leaving the church with regard to seculariz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