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ity of Allomorph in Korean Verbal Morphology
- 주제(키워드) Suppletion , Allomorphy , Korean Morphology , Suppletion Blocking , Locality Condi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인기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0066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thesis attempts to provide a Distributed Morphology-based account for the suppletion of /tal/ and its locality environment. For this research, I suggest the precise morphosyntactic environment of suppletion of /tal/: i) the sentence type of the embedded clause must be imperative and ii) the subject of the matrix clause and the indirect object of the embedded clause must correspond each other. The fact that the allomorph /tal/ appears in a specific morphosyntactic circumstance is strong evidence that the allomorph must be regarded as a suppletive allomorph, not as a defective verb. I also present a DM-based analysis for the suppletion, providing the structure of the suppletive allomorph /tal/. This structure shows how the allomorphs of √GIVE are inserted with the given feature on the terminal node. With this analysis, I propose that the locality condition of Bobaljik (2012) works for the suppletion of /tal/, but not Embick’s (2010). Furthermore, I present some phenomena that seem to block the suppletion. With the locality condition, I demonstrate the blocking effect of the suppletion of /tal/.
more초록/요약
본고는 한국어 동사 어간 ‘주-’의 이형태 중의 하나인 ‘달-’에 대한 분산형태론적 설명과 ‘달-’의 국지성 제약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달-’의 정확한 형태통사적 환경이 제시된다. ‘달-’은 내포절의 서법이 명령문이고, 내포절의 간접목적어와 주절의 주어가 공지시 관계일 때 여타 형태인 ‘주’ 대신 나타나게 된다. 이형태 ‘달-’이 특정한 형태통사적 환경에서 나타난다는 것은 ‘달-’이 불완전 계열의 동사가 아니라 ‘주-’의 보충법적 형태소로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또한 본고는 ‘달-’의 통사구조와 함께 이형태 ‘달’의 분산형태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본고에서 제시된 ‘달-’의 구조는 최하위 교점에 주어진 자질에 따라 ‘주-’의 어휘항목이 선택되고 부여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본고는 보충법적 이형태 ‘달-’이 Bobaljik (2012)이 제시한 국지성 제약에는 부합하지만, Embick (2010)이 제시한 구조적 인접 조건에는 들어맞지 않음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보충법적 이형태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나타나지 않는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국지성 제약을 이용하여 이러한 환경에서 보충법적 이형태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