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르노의 역사철학적 분석과 인식론적 분석의 변증법에 따른 노동에 대한 고찰 : 아도르노와 마르크스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Labor in Adorno's dialectic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epistemic analysis':A comparative study of Adorno and Marx
- 주제(키워드) 아도르노 , 마르크스 , 노동 , 인식론 , 역사철학 , 객체 우위의 변증법 , 짜임관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서동욱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004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의 목표는 아도르노가 노동 문제를 고찰하는 데에 있어 인식비판이 사회비판이고 사회비판이 곧 인식비판이라는 테제를 적용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아도르노는 마르크스를 수용하고 비판하면서 이러한 테제를 노동 비판에 적용하고 있다. 마르크스는 노동에 대해 인간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합목적적 활동 안에서 자연 등의 노동대상을 노동수단을 통해 효율적으로 가공하거나 변형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역사관에 따르면 인간의 삶과 활동을 조건지우고 움직이게 하는 것은 관념론에서 주장하는 정신이 아니라 물질적인 생산 활동이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물질적 생산 활동의 토대인 하부구조를 기반으로 해서 사회적 의식이나 제도 등이 속하는 상부구조가 이해될 수 있다. 물질적인 것으로 역사가 발전하듯 그 물질을 생산하는 노동을 통해 인간의 자기실현이 가능해지고 발전해나갈 수 있다. 그에게 있어 노동 그 자체는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긍정적 활동이다.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해주었던 노동은 자본주의라는 특정 시대에 와서 노동을 하는 주체를 소외시키게 되었다. 자본주의는 노동의 대상화를 발생시켰고 노동의 대상화는 ‘소외’라는 부정적 현상으로 이어졌다. 마르크스는 노동 그 자체는 자기실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긍정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노동 소외의 문제가 노동 그 자체에 내재적인 문제를 갖고 있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라는 하부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하부구조의 변혁을 통해 상부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도르노는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입장에서 소외와 상품 물신적 성격을 극복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아도르노는 마르크스와 달리 노동의 본질적인 성질에 관해서 이야기 하지는 않는다. 그가 마르크스와 달리 노동의 본질적인 성질을 규정하지 않는 이유는 개념적인 통일성으로 인한 추상화 때문이다. 아도르노는 노동의 형태를 인간의 자기실현으로 파악하는 것은 노동을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환원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아도르노는 노동을 보편적인 개념으로 환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동의 본질이 무엇인지 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동이 역사철학적인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의 공모관계 속에서 사유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도르노는 역사철학적인 관점에서 신화시대부터 시민 사회에 이르기까지 노동이 계몽의 과정 안에 있음을 분석한다. 인식론적 관점에서 노동 문제는 ‘동일성’ 원리로 연결된다. 동일성 원리는 계몽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인식론적 관점과 역사철학적 관점은 공모관계를 가진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라는 특정 시대에 노동 소외가 발생했다고 보았던 반면에 아도르노의 테제에서 노동은 신화시대부터 이미 희생의 과정이었다. 마르크스가 소외된 노동에 대한 해결방법을 하부구조의 혁명을 통한 상부구조의 변혁에서 찾는다면 아도르노는 노동을 사유하는 데에 있어 인식비판과 사회비판이 변증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도르노는 인식비판과 사회비판이 변증법적으로 매개하고 있는 실재근거로 ‘사유 속의 유물론적 계기’를 이야기 한다. ‘사유 속의 유물론적 계기’란 아도르노의 객체 우위의 변증법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객체 우위의 변증법은 인식비판과 사회비판을 변증법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아도르노가 노동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 인식론적 방법과 역사철학적 방법의 변증법을 적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노동에서 발생하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억압적인 관계를 비판하는 데 있어서도 인식론적 비판과 역사철학적인 비판의 변증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아도르노는 인식비판이 사회비판이고 사회비판이 곧 인식비판이라는 테제를 객체 우위의 변증법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객체 우위의 변증법이 인식 비판과 사회비판을 어떻게 변증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 아도르노의 이러한 비판 방식이 갖고 있는 의의와 한계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게 본 논문의 마지막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바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analysis on labor in Adorno's dialectic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epistemic analysis'. Adorno develops this thesis on labor by accepting and criticising Karl Marx's theory. Marx explains that a human makes effective use or manufacture of the object of labor by means of labor in teleological activity to satisfy his own desires. That is the concept of labor in Marx's theory. According to his historical materialism, conditioning a human's life and activity does not depend on the Geist but on material production activity. The superstructure such as the Geist, social consciousness or ritual can be explained by understanding the substruc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material production activity. As development of history depends on the substructure, development of a human's self-realization depends on labor which products the material. Labor itself is the positive activity that makes the self-realization possible. Labor which makes self-realization possible alienates the subject of labor at the era of capitalism. Capitalism occurs the objectified labor and leads to the 'alienation' on the subject of labor. Marx argues that labor itself is positive activity in the way that it makes self-realization possible. The alienation problem therefore, is not occurred by labor itself, but by the substructure of capitalism. He suggests the revolution of the substructure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alienation problem in the superstructure. Adorno in contrast, argues that Marx's alternative has some limit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alienation. Unlike Marx, Adorno doesn't argue the essential concept or definition of labor. The reason why Adorno doesn't define the concept of labor is the abstraction, based on conceptual unity. Adorno criticized that analysing the concept of labor as human's self-realization refers labor to something abstract and universal. He however, argues that labor can be analysed by dialectic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epistemic analysis'. From a historical view, Adorno develops theory that labor has been in the course of the enlightenment from the mythical age to the age of civil society. In view of epistemic point, problem of labor is connected to 'Identity'. Identity, in addition, is related with the enlightenment. In that sense, there is complicity between philosophy of history and epistemic analysis in analysing labor. Marx criticizes capitalism which makes the alienation in labor. He therefore, suggests the revolution on the substructure to solve alienation in the superstructure. Otherwise labor has been making the Identity problem and alienation since the mythical age in Adorno's theory. Accordingly, Adorno suggests the dialectic of 'critique of cognition' and 'social criticism' as an alternative. What makes the dialectic of 'critique of cognition' and 'social criticism' possible is 'the object's preponderance'. Dialectic of 'the object's preponderance' performs the dialectic of 'critique of cognition' and 'social criticism.' The thesis aims to understand that Adorno uses dialectic of 'philosophy of history' and 'epistemic analysis' to analyse labor and besides, he criticizes the alienation problem in labor by using the dialectic of 'critique of cognition' and 'social critic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