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영역 내용교수지식(PCK)의 교수적 변환 연구 :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Reading: Focusing on Knowledge About Literal Comprehension
- 주제(키워드) 읽기 교육 , 사실적 독해 , 내용교수지식(PCK) , 교수적 변환 , 교육과정 , 교과서 , 교사 전문성 , 이론과 실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99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이 전달되는 과정과 교수적 변환의 양상을 확인하고, 교수적 변환의 요인을 분석하여 사실적 독해 관련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수적 변환의 단계에 따라 교수적 변환의 다양한 양상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질적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질적 사례 연구의 경우 직접적인 수업 관찰뿐만 아니라 사전 설문 조사, 교사 및 학생 인터뷰 등 자료를 다원화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다. 또한 사실적 독해 관련 PCK 의 구성 요소와 내용 표상을 분석 도구로 활용하여 문헌 자료와 수업 관찰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장의 논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I장에서는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의 전달 과정을 살피기 위해 우선 사실적 독해 관련 PCK의 구성 요소에 따라 지식의 속성과 층위를 밝혔다. 사실적 독해 관련 PCK 중 교육 내용 측면의 지식은 기저 지식으로서 개념적, 방법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지식으로, 교수-학습 방법 측면 지식과 평가 방법 측면의 지식은 방법적 속성이 강한 지식으로, 학생 이해 측면의 지식은 조건적 속성을 지닌 지식으로 규정하고 이들 지식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함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의 이론적 합의체로서 교육과정을 규정하고, 교육과정상 반영된 지식을 중심으로 PCK 구성 요소와 속성에 따라 사실적 독해 관련 PCK 내용을 선정하였다. III장에서는 현재 교실 수업에서 사실적 독해 지식이 전달되는 양상을 대표하는 교사 네 명을 선정하여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고,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사실적 독해 관련 PCK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수업 교사의 사전 인식 설문 조사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참고하여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이 전달되는 과정과 지식이 변환되는 다양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IV장에서는 교수적 변환의 요인을 교사 외적 요인과 교사 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사 외적 요인으로는 먼저 이론 및 교육과정 측면에서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의 선택 및 반영의 문제와 지식의 제시 형식 및 내용에 따른 교수적 변환을 들 수 있다. 이론 및 교육과정 층위에서의 지식은 교사가 전달해야 하는 지식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교수적 변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교과서 및 교재 측면에서 수업 교재의 선택에 따른 교수적 변환을 들 수 있다. 현행 검정 체제에 따른 교과서들은 편찬자에 따라 지식의 내용이나 반영 방식, 조직 등에 있어 편차가 매우 컸다. 특히 EBS 교재나 문제 은행식 교재의 경우 지식이 파편화되는 양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교재에는 이미 교수적 변환이 전제되어 있으며, 교과서나 교재 또한 교수적 변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교수적 변환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교사 내적 요인으로는 교사 개개인의 전문성을 들 수 있다. 관찰 교사 네 명의 수업과 인터뷰를 통해 사실적 독해 관련 PCK를 구성하는 지식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모두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지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시도와 노력의 정도도 모두 달랐다.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은 교수적 변환의 마지막 단계이자 학생들과 직접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교수적 변환의 핵심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교사 개인의 특정 영역에 대한 선호, 변화에 대한 대응 방식, 자기 개발에 대한 내적 동기 등의 교사 내적 요인 또한 사실적 독해 관련 교수적 변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의 교수적 변환이 이론과 현장 어느 한 쪽의 문제가 아니라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반복되고 고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지식의 선택과 체계를 구성하는 근거로서 의의를 지닐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서 사실적 독해 관련 지식을 다루는 교사 전문성에 대한 각성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literal comprehension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By understanding the antecedents that affect PCK,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grounds for setting up the principles of choosing educational content regarding literal comprehension and for advancing teachers’ expertis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Next a variety of phenomena of PCK by stage are observed and analyzed. By adopting a qualitative approach that includes pilot surveys and in-class observations as well as interview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uses triangulation to more rigorously validates the findings. The literature review and in-class observations are systema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components that constitutes literal comprehension from PCK and content representation. The body of the manuscript consists of the following detail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formation process, chapter II discusses knowledge traits and hierarchy of knowledg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PCK with respect to literal comprehension. It is revealed that among PCK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knowledge about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linked to propositional and procedural knowledge as foundational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evaluations to procedural knowledge, and knowledge about understanding students to conditional knowledge. Furthermore all these types of knowledge should be reciprocally link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efines the educational curriculum as a theoretical bo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is educational curriculum is used to select the content of PCK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In Chapter III, four teachers are selected who represent how knowledge about the literal comprehension is delivered in class. Their performances in class are observed and the detailed composition that produces the literal comprehension is specified using analytical tools. Moreover, through a pilot survey and a post-interview this study observes how the literal comprehension is formed and specifies a variety of phenomena that illustrate the knowledge transposition. Chapter IV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concerning the antecedents that affect didactic transposition from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The external factors of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include the style of selecting and reflecting knowledge about literal comprehension from theoret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by the knowledge format and content. In that theories and knowledge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re the fundamental objects that should be delivered by teachers, it sh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didactic transposition. Another factor that affects it is the choice of textbooks used in class. The textbooks approved by the current textbook verification syste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ntent, the form of presentation, and the structure, depending on who wrote them. In particular, it shows that more serious deviations are observed in the textbooks published by EBS and the textbooks adopting the question bank format. This indicates that each textbook has many different directions by which didactic transposition occurs to form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The internal factors affecting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include the individuals’ levels of expertise. The interviews with four different teachers illustrate that their levels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how PCK related to literal comprehens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levels of their attempts and efforts to integrate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in PCK are also different. This means that a teacher’s level of expertise is in the most important stage when students are taught in class and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a highly important factor for didactic transposition. Individual teachers’ preferences about educational fields, their coping strategies about changes, their internal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also affect didactic transpos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idactic transposition is affected not only by the theoretical components and but also by practical componen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scholarly meaningful in that it can guide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and thus helping to select and construct the knowledge layout. In addition, it alerts current teachers to the importance of continuously advancing development of their expertis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