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Voice Behavior of Subordinates
- 주제(키워드) 발언 행동 , 리더십 , 변혁적 리더십 , 발언 효능감 , 심리적 안전감 , 상사 신뢰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조봉순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99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부하의 발언 행동에 있어 리더십이 가지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선행요인이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 발언 행동이 나타나며 그러한 요인 중 상사의 리더십 스타일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양한 리더십 스타일 중 변혁적 리더십의 행동 특징이 부하의 발언 행동에 높은 영향을 미침이 보고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발언 행동의 선행되는 심리적 계산과정인 발언 효능감과 심리적 안전감에 변혁적 리더십의 각 구성요인이 각기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 지와 그 과정에서 상사에 대한 부하의 신뢰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발언 행동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의 주장에 따르면 부하의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인 요인이 다양하지만, 그러한 요인들은 부하의 심리적인 요인인 발언 효능감과 심리적 안전감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발언 행동의 결과로 나타나거나 침묵에 머무른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4가지 구성요인 중 카리스마, 영감적 동기부여, 그리고 지적 자극은 부하의 발언 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요인인 개별적 배려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부하의 발언 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두 심리적인 요인이 발언 행동의 선행 과정으로써 변혁적 리더십 4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상사 의 행동은 부하가 상사에 대하여 인지한 신뢰 수준에 따라 해석이 다를 것이라는 상사 신뢰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상사에 대한 신뢰 수준에 따라 리더십이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을 위하여 국내 대도시에 위치한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금융업 중심의 13개 기업의 종업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를 근거로 한 검증 결과, 1) 카리스마는 발언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개별적 배려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감적 동기부여와 지적 자극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발언 효능감은 발언 행동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지만 심리적 안전감은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발언 효능감은 카리스마가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안전감은 개별적 배려가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이 발언 효능감과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사 신뢰가 가지는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발언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리더십이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발언 행동에 선행되는 두 가지 중요한 심리적 과정(발언 효능감, 심리적 안전감)에 변혁적 리더십 행동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관계는 다시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부하의 발언 행동에 선행되는 두 가지 심리적 요인에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이 각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일부 검증됨으로써, 변혁적 리더십 중 부하의 발언 행동에 미치는 요인과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발언 행동에 대하여 부하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인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부하의 심리적인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상사의 리더십 행동이 발언 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조사 자료가 가진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