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역사지도 분석 -일제강점기 사회·문화를 중심으로-
Historical Maps in ‘History of Korea’ -with Special Emphasis on Social and Cultural Affairs in Japanese Colonial Era-
- 주제(키워드) 역사지도 , 역사교과서 , 한국사 , 학습 자료 , 식민지 근대성 , 해석적 이해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94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과서 역사지도의 정치사 편중성에서 연구 동기를 찾을 수 있다. 역사지도의 편중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자 현행 역사교과서 『한국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고,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식민지 근대성’ 연구에 주목해 일제강점기 사회·문화로 범위를 좁혀 『한국사』 역사지도를 분석했다. 분석 방법은 역사지도 구성, 역사지도 영역별 비중, 역사지도 내용으로 나누어 『한국사』 역사지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사』는 대강화에 따라 출판사의 재량이 작용해 출판사별 지도 구성이 다양하다. 그렇지만 지도 구성의 다양성은 단원 구성의 다양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엄밀하게 역사지도의 다양성을 의미한다고 보기 어렵다. 『한국사』 역사지도의 영역별 비중은 정치사가 높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의 계열성에 따라 경제, 사회, 문화 연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사』는 정치사 중심으로 지도를 수록하고 있어, 계열성과 교과서 역사지도가 일관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도의 내용은 참신한 내용도 있지만 대체로 지도 자체가 부족해 내용적인 면에서 다양성을 논하기 어렵다. 이를 미루어 보아, 『한국사』는 역사지도 편중성에 별다른 개선점을 보이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본고의 제언은 지속적인 역사지도 개발에 있다고 보고, 개발 모형으로 역사지도를 제작하고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시대사와 분류사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학습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역사지도를 개발할 필요성도 함께 제언으로 남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finds its motivation in the historical maps in textbooks concentrated in political history. This study selected ‘History of Korea,’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as the subject to discuss on the historical maps concentrated in political history, and analyzed the historical maps in ‘History of Korea’ with a narrower scope of study of social and cultural affai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focusing on examination of ‘colonial modernit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This study looked at the historical maps in ‘History of Korea’ by classification of composition of the historical maps, ratio by area in the historical maps, and contents of the historical maps. Discretion of publishing companies works on ‘History of Korea’ in accordance with simplification, and there are a variety of composition of the maps by publishing company. However, the diversity in composition of the maps is due to the diversity of composition of units, and strictly speaking, it cannot be viewed as meaning the diversity of the historical maps. Political history has the greatest ratio by area in the historical maps in ‘History of Korea.’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connection betwee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s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since ‘History of Korea’ contains the maps focusing on the political history, the sequences and the historical maps in the textbook are inconsistent. There are fresh contents in the maps, but in general, there are not enough maps in the textbook, which makes it hard to discuss diversity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refore, ‘History of Korea’ can be seen to have failed in improving the historical maps concentrated in political history.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suggestion lies in constant development of historical maps to make a historical map as a model for development and to present a plan for using i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storical maps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without being bound by the chronology-based history or the subject-based histo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