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교육 참여자의 부모역할에 관한 전환학습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of Parent Role by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초록/요약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부모역할 수행의 어려움을 돕고자 다양한 기관에서 부모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양육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관심은 양적 증가를 가져왔으나 부모역할 수행에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의 질적 향상은 미흡하다. 기존의 부모교육은 자녀양육중심의 양육정보나 기술을 제공하는 데 편중되어 있고, 강사가 주도하는 일회적이고 수직적인 강의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부모교육 내용과 방법으로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직면하는 심리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차원의 요소를 돌아보기 어렵고, 근본적으로 부모가 부모역할 수행에 주체성을 갖고 주도적으로 변화에 대응하는 능동적인 역량을 키우기 어렵다. 따라서 부모 자신의 삶과 부모역할에 대한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량을 키우기 위한 자기인식 중심의 프로그램의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역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과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사회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부모 자신과 가족을 새롭게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는 배경을 살펴 볼 필요성이 제기 된다. 본 연구는 부모교육 참여자의 내면적 변화와 실천을 살펴보았다. 부모교육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부모역할에 관한 관점전환 내용과 부모역할 수행에 있어서의 수용도 및 변화를 고찰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및 적용경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부모학교 프로그램 검토하였고 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 후속 활동을 알아보았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의 부모역할에 관한 관점전환 내용을 알아보았다.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의 관점전환을 통한 실천에서의 변화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 문헌조사와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관점전환과 실천적 변화를 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스스로부모학교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스스로부모학교 1기를 수료한 팀 리더 5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학교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공통적이고 어려움을 느끼는 부모역할에 관한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부모 스스로 문제를 찾고 그 배경을 살펴 부모역할을 재인식하도록 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지도원리에 따라 진행되어 부모의 자기인식을 돕고 있었고, 후속활동은 스스로부모학교 콘퍼런스와 스스로부모학교 참여자의 정기모임과 온·오프라인 스터디 모임이 운영되고 있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자들은 부모역할에 관한 왜곡된 의미구조를 찾고 재구성하였다. 원부모로부터의 영향이나 좌절된 부모 자신의 경험과 같은 심리적 의미구조를 성찰하여 새롭게 이해하고 수용하였다. 사회·문화적 의미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모성과 자녀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인식하고 자신만의 부모역할을 재구축하였으며 전문지식이나 전문가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를 거두고 부모 스스로의 신뢰를 회복하고 새롭게 의미부여를 하였다. 셋째, 관점전환을 통한 실천에서의 변화점은 부모 개인적으로 자신의 성장을 추구하고, 상황에 대한 객관화와 생활 안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의 모습을 보였다. 관계적 변화점은 자녀관계, 부부관계, 기타관계에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관계에서는 수평적인 관계에서 건강한 독립과 연합, 실패에 대한 수용과 공감과 지지를 통한 열린 의사소통의 모습을 보였다. 부부관계에서는 배우자의 원모습을 수용하고 친밀감이 증가되었다. 또한 배우자를 양육동반자로 초대하고 열린 의사소통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기타관계에서는 관계거리를 스스로 조절하고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회적 변화로는 직업세계 새로운 탐색과 도전의 모습을 보였고 개인적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 삶으로의 확대 그리고 함께 사는 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실천의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주체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 적용경로에 있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모의 자기인식증진을 돕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자기인식을 돕기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며 소집단 형태의 운영과 격려자 및 협력자로서의 교수자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후 실천적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추후모임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자기인식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내면적 변화와 실천적 변화를 질적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 자기인식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후 7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실천적 변화점을 찾아내어 프로그램의 지속적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모역할 인식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실제적 결과로 도출하여 앞으로 부모의 주체적 역량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 적용경로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둔다.

more

초록/요약

Parent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by many institutions to ease the difficulty of executing parent’s role caused by radical changes in modern soc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ttentions by society and government on parenting, however, little gains made on the quality of parent education that can give substantive and continuous effect on the execution of parent role. Existing parent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providing parenting information and skills. It is also practiced as a form of lecture dominated by instructor which is one-shot and vertical in nature. With this kind of content and method, it is difficult to see various dimensions of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hardships faced from parenting. Essentially, it can be difficult for parents to have initiative and identity in the execution of parent ro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awareness oriented program designed to raise capability of parent’s self life & parent’s role, and social factors and environments affecting the awareness of parent role. Moreover, it is needed to see the context where parents and families are newly acknowledged and accepted within the dynamic changes i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internal changes by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contents, methods, and application rout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by examining acceptance and changes in the execution and perspective transformation of parent role facilitated by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With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xplored. First, programs of parent education are studied. To this end, the contents, methods and activities of program are examined. Second, the contents of perspective transformation on parent role by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after attending the program are examined. Third, changes in the execution thru perspective transformation of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are examined. This study utilizes literature review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in-depth interview to see perspective transformation and actual changes of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Seuseulo Parent School Program was chosen and in-depth interview for 5 team leaders of this program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 was provided on the subject of parent role in which they feel in common and difficulty. Parents are guided to find and solve problems themselves and re-acknowledge the role of parent.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proceeded based on the principals of adult education coaching to help self awareness of parent. As follow up activities, conference of self parent school, online and offline gatherings of participants of the program and study groups are being conducted. Second,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found and re-constructed twisted meaning structure of parent role after attending the program. They reflect on psychology meaning structure such as influences from their parents, shattered experiences as parents themselves, and newly understand and accept their roles. They acknowledge motherhood affecting societal and cultural meaning structure and ideology toward children, re-construct parent role of their own, come to restore self trust and meaning as parents by walking away from blind trust to experts or expert information. Third, as changes in the execution of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ey strive for personal development as individual, and show constant efforts within their lives thru objectification of surrounding situations. Changes in relations happen in the areas of relations of children, conjugal relations and other relations. In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pen communications thru sympathy and support, healthy independence and union, acceptance of failure are observed within the horizontal relations. Intimacy in conjugal relations gained by accepting original identity of their spouse. New relationship was building by open communications and invitation of spouse as partner of nurturing. They showed self adjustment of relation distance and acknowledgement in the other relations. As a social change, they showed new exploration and challenge toward career and expansions into both personal and social lives, and interests in community and their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of this research proposes following methods in the contents, ways and application route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o raise initiative capability of parents. First, various conten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elp raise self awareness of parents. Second, long term and sustained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to be run to facilitate self awareness, and small scale operation, role of instructors as support and cooperator are required. Third, follow up meeting and gathering after attending the program is required to sustai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This study proved the effect of self-awareness raise parent education program thru qualitative research looking into internal and actual changes of program participants. The sustained effect of program was validated by finding out actual changes occurred even after 7 months of program particip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wo areas. One is providing implications on the program contents, methods, application routes that will raise initiative capability of parent. The other is drawing actual results of effects of various factors related on awareness of parent ro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