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교 「영어 독해와 작문」 교과서 쓰기 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Writ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독해와 작문」 4종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여, 교과서가 단계별 쓰기 활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쓰기 영역의 학습 내용별 성취 기준을 고르게 구성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쓰기 활동 단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쓰기 활동을 통제 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으로 구분한 후 이를 Rivers(1981)의 쓰기 유형에 따라 5단계로 세분화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에서는 교육 과학 기술부(2011)에서 고시한 영어 독해와 작문의 쓰기 성취기준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활동 단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4종의 교과서 모두 통제 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을 고르게 구성하지 못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자유 작문의 비중은 평균 12% 정도로 통제 작문과 유도 작문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둘째, 학습 내용별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 쓰기 활동이 총 일곱 개의 영역 중 한 두 가지의 영역에만 치중된 경우가 많았고 4종의 교과서 모두 성취기준을 만족시키는 활동을 골고루 구성하지 못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는 통제 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교과서를 재구성 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그에 맞는 보조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쓰기 교육을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원어민 핫라인이나 코퍼스 제공과 같은 획기적이고 새로운 지원 방안을 모색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언을 통해 「영어 독해와 작문」 교과서로 수업을 하는 교사들이 보다 나은 수업을 계획하고 그로 인해 학생들 역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쓰기 교육을 받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in four kinds of High Schoo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which are revis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2009, and figure out whether those textbooks are well organized according to the two factors, such as types of writing and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I used 3 different types of writing, namely, controlled, guided, and free writing, which are generally accepted in ESL studies. I also applied 5 levels of writing, namely, copying, reproduction, recombination, guided writing, and composition, which are based on Rivers(1981).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used have 7 different categories, which were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1).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textbooks were not evenly composed of controll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The proportion of free writing was approximately 12% average, which was remarkably low in comparison with guided writing and free writing. Second, the writing activities were biased because one or two out of seven categories were frequently used, thereby indicating that the writing activities were disproportionat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ly,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reconstruct the textbook in order to even out the writing activities among controlled, guided, and free writing.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to provide enough supportive materials to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s. Lastly, a new and practical support, such as an English corpus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the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and proposals of this thesis, it is hoped that the teachers who are using the High School English Reading and Writing textbook in a classroom context can prepare more advanced lessons, so that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receive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approach to writing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