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EFL 학습자의 교재내용 기반 영어 글쓰기 특성 연구
- 주제(키워드) L2 쓰기 , 교재내용 기반 영어 글쓰기 , 고등학생 EFL학습자의 영어 글쓰기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요안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91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준 EFL 학습자의 효과적인 영어 쓰기지도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그들의 영어 글쓰기 수준에 따른 특성과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는 시도를 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EFL 학습자 21명을 대상으로 교재의 읽기내용을 연계한 시간제한 논술문 쓰기를 2개월 동안 3차례에 걸쳐 실시하였고 이들의 쓰기 결과물을 내용, 구성, 어휘, 언어사용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적 채점을 한 후 평가점수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의 영어 글쓰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학생들 모두 분석적 채점의 평가영역 중에서 내용영역에 비하여 언어사용과 어휘영역의 평가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교 EFL 학습자들의 문법적 능력과 어휘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육적 개입이 요구되는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휘영역에서 우선적인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어휘영역에서만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 통계상으로 의미 있는 발전이 있었을 뿐 아니라 집단 간의 격차도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휘사용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소스(source) 활용 쓰기교육이 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질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의미 있는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수준의 EFL 학습자의 경우, 문장의 평균길이의 증가는 영어 쓰기능력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학습자들이 더 복잡한 문장 구조를 생산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그들의 복잡한 문장구조 사용의 증가는 글쓰기 과제 지시문의 명시성과 주제의 친숙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글쓰기 활동이 모든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표현력과 문장력을 실험하고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려면 글쓰기 주제를 다양하게 선택해야하고 지시문은 글쓰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본 연구의 결과들은 앞으로 EFL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인 영어 쓰기지도 방안을 모색할 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 믿는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ource-based writing by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help design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plans. Twenty one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tudent producing three source-based timed writings over two months. Their writing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wo different writing proficiency groups by the analytic scoring method, which yielded scores on content, organization, vocabulary, and language in use.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tudents’ language in use and vocabulary knowledge are much poorer than their knowledge of content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This confirm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ir grammar and vocabulary knowledge. Especi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vocabulary knowled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urce-based writing. This writing appeared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experiment with their knowledge of the source’s vocabulary as well as their existing one while writing. This led to exploring more appropriate words in the context and to expanding their vocabulary knowledge. This suggests that source-based writing can be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EFL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mean length of sentence, which is known as a good indicator of writing quality, doesn’t guarantee EFL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quality, but it does indicate the language learner’s experimentation with the grammar in the writing, producing syntactically more complex sentences. Considering the finding that students’ sentence complexity was influenced by the explicitness and the subject familiarity of the writing prompt, it is advisable to make up elaborate writing prompts suitable for the intended goal (grammar and vocabulary improvement) through writing. Ide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elp design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plans in the EFL high school classroo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