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사료학습방안연구 : : 갑신정변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history textbook material in teaching method : Focusing on gapsin coup
- 주제(키워드) 사료학습 , 글쓰기수업 , 갑신정변 , 수행평가 , 역사적 사고력 , 역사적 탐구 , 수업방안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88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제 3차 교육과정 이후 역사과목의 ‘필수’가 되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비롯하여 각종 시험에서 한국사를 필수로 지정하였다. 또한 학교시험에서도 논술시험과 서술형 평가가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학생들은 역사를 암기과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학생들에게 역사란, 암기과목이 아닌 재미있고 신선한 역사과목으로 기억되기 위해서 사료학습방안을 연구하였다. 교과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료’는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전달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사료를 통해서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과 감정이입 및 추체험을 경험 할 수 있다. 현재, 역사교육에서 역사적 탐구기능이나 사고력이 강조되고 있다. 교과서에서는 학생들이 탐구기능이나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사료는 한정적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다양한 사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해석할 수 있는 사료를 수업시간에 사용함으로써 다양화 해야 한다. 본문의 내용은 갑신정변에 관련된 사료학습 방안이다. 갑신정변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오기까지 1번이상은 들어 보았을 내용이다. 개화파가 처음으로 시도한 근대개혁운동이다. 그러나 백성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고, 급진개화파의 의도로만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14개조 혁신정강을 통해 이루고자한 목표가 뚜렷한 개혁운동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갑신정변은 ‘삼일천하’라는 다이나믹한 스토리 전개로 학생들에게 생생하고 쉽게 사료를 제시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선정하였다. 제시된 사료학습방안은 글쓰기 학습과 연계되어 나타난 사료학습방안이다. 수많은 내용을 전부 포괄할 수는 없으나 수업방안으로 고려해볼 만한 내용이라 생각된다. 현장의 역사교사들이 생생하고 깊이 있는 역사수업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사료의 활용에 많은 시도와 노력이 필요하다. 앞으로 많은 연구결과물이 계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사료학습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more초록/요약
After the third round of the Korean curriculum,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is essential in the education system. In not only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but also other various tests, the Korean History is mandatory. Moreover, the form of a descriptive and argumentative essay test is gaining its significance. Yet the history of Korea for secondary students is a course mainly focused on memorizing historical events for exams. The aims of this dissertation are at making the subject more interesting and finding an approach from a new viewpoint for a better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Historical materials on textbooks could lead to vivid and concrete experiences. Students could improve an ability of historical thinking, and experience historical reenactment and empathy. Nevertheless, in the current environment with the emphasis on the historical thinking and pursuit, its materials to enhance those skills are limited. Therefore, a diversification of pedagogical methods for students themselves to think and analyse history by teachers` preparations is imperative. This article`s main theme is a teaching strategy related to the ‘Gapsin Coup’ in 1884 which Korean students have heard more than once. The Coup was a movement for reforms towards the modern era which a ‘Gaehwapa’, an enlightenment party, conducted first. But, they did not gain support from people, and showed its vulnerability of lacking nationwide agreements. Of course, the movement had tangible 14th doctrines and also was very-brief-reign, only 3 day-short-ruled. The reason why the ‘Gapsin Coup’ is chosen as the main theme is its dynamic story would be practical in a more vivid and much easier description for students. The following chapters are centred on a teaching method with a writing essay. The whole contents are not included, but their worth-remembering strategy has come to the topic. Beyond that, all the more important is a host of attempts and every effort to use historical materials practically so as for teachers to organize a meaningful and insightful course of Korean history. Further advancement of researches also should be necessary and continuou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