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과 중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 공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Socia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Self-control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인터넷 통신의 급속한 발전과 개인 미디어의 발달로 청소년의 주변 환경이 변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 청소년의 문제로 보고되고 있는 사이버불링과 관련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이 중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에 부적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이버불링 경험이 직접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공감능력을 떨어뜨리고 자기통제력을 저하시키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재학 중인 중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373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남녀공학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성별에 따른 구성은 남학생 163명(43.7%), 여학생 210명(56.3%), 학년별로는 1학년 104명(28.4%), 2학년 123명(33.0%), 3학년 144명(38.6%)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22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이버불링가피해경험에서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정 및 ANOVA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 방법을 적용한 Preacher, K. J. & Hayes, A. F.(2008)의 검증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은 사회성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이다. 둘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은 공감을 매개로 사회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은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사회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은 공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섯째,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이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은 중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과정에서 공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버불링 가피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교우들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기 어렵고, 학교생활에서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들이 친구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해 나가도록 돕기 위해서는 연구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된 공감과 자기통제력을 길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on cyberbullying, which is reported as a problem of adolescents with the chan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dolescent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advancement of personal media. To be more specific, the study assumed that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would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and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imed to verify the effects. Also, the study speculated that cyberbullying experience would rather have a greater influence by indirectly decreasing empathy ability and self-control, rather than directly influencing socia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sought to confirm its specific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07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survey and a total of 373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attending coeducational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gender composition was 163 male students (43.7%), 210 210 female students (56.3%), with 104 first year students (28.4%), 123 second year students (33.0%), and 144 students (38.6%).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using SPSS Ver. 22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To verify the effects of mediating in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Preacher, K. J. & Hayes, A. F.(2008)'s test tool that applied Bootstrap method was used.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ociality,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ity. This meant that higher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led to declining sociality. Second, in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ociality f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ity with empathy as a mediat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ociality demonstrated that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ociality by having self-control as a mediator. Fourth, in th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chool life adaptation was verified. It demonstrated that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by having empathy as a mediator.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examined in the influence of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on school life adapt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by having self-control as a mediator. In conclusion,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self-control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 Such result means that students with the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of cyberbullying find it difficult to build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classmates and adapt to their school life. To help them communicate well with their friends and adapt well into school life, it is effective to develop empathy and self-control whose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