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수준과 자존감 불안정성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존감 수준과 자존감의 불안정성이 매개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 여 대학생과 대학원생 312명 (N=312)의 자기보고 자료를 SPSS22.0과 Amos 18.0, Mplus 4.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존감 수준과 자존감 불안정성이 각각 개별적으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자존감의 또 다른 차원인 자존감 불안정성을 거절민감성이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검증하여 관련 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거절에 민감한 내담자의 공격성에 개입하는데 유용한 실증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on aggression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level and self-esteem instability. Data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312(N=31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the Amos 18.0, and the Mplus 4.20.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aggression was fully mediated by self-esteem level and self-esteem instability. Current findings add to the extent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on self-esteem level, self-esteem instability, and aggression.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regard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lients with rejection sensitivity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