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된 수치심이 폭식 행동 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 정서조절곤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도움말 폭식 행동 , 수치심 , 정서조절곤란 , 인지적 탈억제 , 주의 편향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향숙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11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폭식 행동 경향성을 보이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자기초점적 정서인 수치심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정도에 따른 식욕의 변화량과 인지적 탈억제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폭식 행동 경향성을 보이는 40명의 여대생들을 선별하여, 각각 20명의 학생들을 수치심 경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수치심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수치심 유도 조건 및 비유도 조건으로 나누었으며, 신체 단어 및 중성 단어에 대한 오답률과 반응 시간의 비율로서 인지적 탈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신체와 음식 단서로 이루어진 go/no-go 과제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식욕의 변화량에 있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식욕의 변화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심과 정서조절곤란의 하위 요인인 충동통제곤란 역시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보이며 반응 시간 비율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신체 단어에 대한 오답률은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부정적인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의 상호작용효과를 인과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more초록/요약
Recently, emotion regulation ability has been considered to be a key to understand various abnormal behaviors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ced shame, emotion dysregulation, and increased desire for eating and cognitive disinibition. For this purpose, 40 bulimic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a shame-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former students were induced shame in a laboratory setting but others were induced rather positive mood. After mood induction, all participants did go/no-go task with body and food cues.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desire for eating, but the interaction effect on induced shame and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is significant to predict desire for eating's increase. Induced shame and the difficulty in control impulsivity, which is a subscale of emotion dysregulaton scale, also showed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on reaction time ratio. It did not explain body words error ratio.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as a try to amplify the emotional model on binge eating disorder or bulimic behavior.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