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집적단지 개발과 정부정책의 역할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 교차사례연구
Successful Agglomeration Development and the Role of Government Policy : A Cross-Case Study of Ulsa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Daedeok Innopoli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집적경제 , 집적의 원천 , 정부정책 ,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 대덕연구개발특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문성욱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910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공적인 집적단지의 형성요인과 그 과정에서 정부정책의 역할은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대한 교차사례연구를 통해 정부 주도하에 조성된 집적단지가 성공적으로 개발되기 위한 요인은 무엇이고 이 과정에서 정부정책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결과는 같다. 첫째, 자연적 입지조건이 중요한 중화학제조업에서는 자연적 우위가 집적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한다. 반면 사회·경제적 입지조건이 중요한 과학지식서비스업에서는 자연적 우위가 집적의 원천으로 덜 중요하게 작용한다. 둘째, 정부는 산업에 따라 요구되는 입지조건을 고려한 집적단지 조성을 통해 집적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규모의 경제가 중요한 중화학제조업에서는 투입재 공유가 집적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한다. 넷째, 정부는 투입재를 공급하는 핵심기업을 입주시키고 관련 투입재에 대한 수요를 개발함으로써 중화학제조업 집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섯째, 지식의 공유를 통한 연구개발 활성화가 중요한 과학지식서비스업에서 지식확산이 집적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한다. 여섯째, 정부는 핵심 연구기관을 입주시키고 산학연 협력 활성화와 창업지원 정책을 통해 과학지식서비스업 집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곱째, 제조업 인력이 중요한 중화학제조업에서는 생산직 인력 풀링이 집적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한다. 반면 연구개발 인력이 중요한 과학지식서비스업에서는 연구직 인력 풀링이 직접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한다. 여덟째, 정부는 산업에 따라 연구되는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입주시킴으로써 집적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successful spatial agglomer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policy in fostering agglomeration. Through an inductive case study of two successful spatial agglomeration cases, key determinants of successful agglomer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policy are identified.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s: First, natural advantage is an important source of agglomeration in heavy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ies, where natural local condition is important. Whereas, natural advantage is less important as a source of agglomeration in science and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Second, government policy positively affects agglomeration development by establishing industrial complexes at locations that best fit the required local conditions. Third, input sharing is an important source of agglomeration in heavy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ies, where scale of economics is important. Fourth, government policy, in heavy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ies, positively affects agglomeration development by establishing core companies that supply input and developing demand. Fifth, knowledge spillover is an important source of agglomeration in science and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where idea sharing is important. Sixth, government policy, in science and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positively affects agglomeration development by encouraging entrepreneurship and collaboration. Seventh, manufacturing worker pooling is an important source of agglomeration in heavy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ies, where manufacturing workers are important. Whereas, R&D worker pooling is an important source of agglomeration in science and knowledge service industries, where researchers are important. Eight, government policy positively affects agglomeration development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can supply labor to the related indust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