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불안애착이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애착이 연인관계 내에서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거절민감성이 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 Ⅰ에서 Downey, Berenson과 Kang(2006)이 개발한 성인용 거절민감성 척도 (Adult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A-RSQ)를 한국판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180명(N=180)의 성인기 초기 미혼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1요인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적절한 내적신뢰도 및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거절민감성을 측정하는 다른 도구인 거절민감성 척도와 상관분석 결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 Ⅱ에서는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거절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를 매개로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연인과의 교제 경험이 있는 미혼 성인 남녀 365명(N=365)의 자료를 사용하여 불안애착이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 거절민감성이 매개하는 경로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불안애착이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을 거절민감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불안애착은 거절민감성과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거절민감성도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양가성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대학 재학생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거절민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불안애착 성향의 개인이 연인관계 내에서 보이는 정서표현 갈등을 동기화하는 내적 기제로서의 거절민감성의 역할에 대한 실증 연구 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연인관계 내 정서표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내담자에 대한 효과적인 이해 및 개입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study Ⅰ, Adult-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A-RSQ), whi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Downey, Berenson and Kang(2006)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was validated using 180 unmarried young adults (N=180). Result of explan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1-factor construct, which was the same as the original version.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es indic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A-RSQ also was found to have adequate convergent validity with the Korean version of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RSQ). In Study Ⅱ,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 was explored. Results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365 unmarried young adults (N=365) with reported ro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and the Mplus 4.21. Findings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rejection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s.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s was partially medi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Current findings add to the extent literature regarding emotional expressiveness of attachment anxiety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regard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emotional regulation for clients with attachment anxiety having difficulty expressing their emotion in romantic relationship a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inclu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