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경제적 지위와 피해자 책임전가: 공정세상 신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오늘도 뉴스에는 수 많은 사건, 사고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 피해자들이 존재한다. 사람들은 이들에 대해 동정심을 표하는 한편 많은 사람들 중 왜 그들이 희생되었는지 이유를 찾기도 한다. 사람들은 안전하고 공정한 세상에 살고 싶은 소망을 반영하여 피해자에 대해 ‘분명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자신도 모르는 사이 내리게 된다.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의미하는‘공정세상 신념’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생겨나는‘피해자 책임전가’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간사회를 나누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사회계층’을 포함하여 사회경제적 지위와 피해자 책임전가 사이 관계를 살펴보며, 공정세상 신념이 두 변수 사이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학부생과 대학원생 28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AIDS환자에 대한 책임전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AIDS환자에 대한 책임전가 사이 관계는 AIDS환자에 대한 공감을 통제했을 때도 유의미하였다. 셋째,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AIDS환자에 대한 정적관계는 공정세상 신념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었다. 넷째 성범죄 피해자에 대해서도 AIDS환자에 비해 다소 약하지만 위와 유사한 경향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피해자 책임전가 사이의 정적 관계는 참가자의 객관적 사회계층(i.e., 가계소득)을 통제하고도 유의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