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내담자의 문화적 성향과 의존성향에 따른 상담방식 선호에 대한 연구
- 주제(키워드) 도움말 개인주의 , 집단주의 , 의존성향 , 지시적 상담 , 비지시적 상담 , 상담방식 선호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연규진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99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문화성향과 의존성향에 따라 상담방식 선호가 달라지는 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남, 충북, 광주에 거주하는 성인 173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참가자로 하여금 지시적/비지시적 상담방식을 강조한 두 개의 모의상담을 듣고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상담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모의상담 제시의 순서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두 가지 모의상담을 무선적으로 제시하였고, 대략 1주일의 시간차를 두고 나머지 모의상담을 듣고 설문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군집분석과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문화성향(개인주의와 집단주의)과 의존성향의 세 변인들의 조합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다섯 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이 군집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개인주의, 집단주의 성향이 모두 평균보다 높고, 의존성향이 매우 높은 집단인 ‘강한 이중문화 성향을 띤 높은 의존형 집단’, 개인주의 성향이 평균보다 매우 높고, 집단주의 성향도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정도, 그리고 의존성향은 평균에 가까운 집단으로 ‘이중문화 성향을 띤 집단’, 개인주의, 집단주의는 평균에 가깝고 의존성향은 평균에 비해 높은 집단으로 ‘의존형 집단’, 개인주의 성향이 평균보다 매우 낮고 집단주의성향이 평균에 가깝지만 의존성향은 평균보다 다소 낮은 집단으로 ‘낮은 개인주의 성향을 띤 집단’, 마지막으로 개인주의 성향이 평균에 가깝고, 집단주의성향, 의존성향이 평균보다 매우 낮은 집단으로 ‘낮은 집단주의 성향을 띤 낮은 의존형 집단’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집에 따라 지시적인 상담방식과 비지시적인 상담방식의 평가와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한 이중문화 성향을 띤 높은 의존형 집단과 이중문화 성향을 띤 집단은 지시적인 상담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존성향 높지 않은 상태에서 상담방식의 선호에 문화성향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의존성향이 높고 낮음에 따라 더 분명하게 지시적/비지시적 상담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집단주의성향과 의존성향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 낮은 집단주의 성향을 띤 낮은 의존형 집단은 강한 이중문화 성향을 띤 높은 의존형 집단과 반대로 분명하게 비지시적인 상담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주의성향과 의존성향이 낮고 개인주의성향이 높을수록 비지시적인 상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장면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논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