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정체성과 취업과정 : 고학력 장애인의 대응전략
Disability Identity and Employment Process : Coping Strategies of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 주제(키워드) 도움말 고학력 장애인 , 장애인 고용 , 장애정체성 , 정체성관리전략 , 사회정체성이론 , 장애가시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전상진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97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employment strategies of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do not receive attention in the academic sphere for two main reasons. First, there is widespread prejudice that these highly educated individuals face less employment discrimination than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le higher education is an advantage in the standard labor market, it can be a sticking point for job-seeker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due to government policies and employer attitudes,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must overcome the “disability barrier” individually rather than collectively. Second, there is a reluctance to describe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strategic actors. Previous studies display a passive imag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ategorizing them either as beneficiaries or victims. Prejudice and such fixed images of disability alienate highly educated persons who respond actively to overcome employment barri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of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inadequate research. This study utilizes the concept of “identity management strategy” found in social identity theory to typify the employment strategies of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Social identity theory presupposes that personal identity is formed by the value given to the social group in which an individual belongs. If the in-group has low social status, individuals manage their identity in order to enhance their social position.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skillfully manage their “disabled identity” in order to raise their social position during the employment process. To analyze this phenomenon, this case study examines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in job hunting and preparation for employment. Social structural factors that affect identity management are disability visibility and views regarding the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visibility - a measure of the degree of disability - is largely determined from the outside, but persons with disabilities may also adjust the degree of visibility. In terms of the productiv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hile it is socially unacceptable to view them as low-status, employers’ perspectives vary regarding their potential value as employees. Disability identity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employment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assing,” internal competition, and external competition. Persons with low disability visibility who accept discrimination as inevitable can minimize their disability visibility and thus “pass” in the labor market. Persons with high disability visibility who accept discrimination as inevitable can utilize internal competitive strategies, which entails reframing their disability and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various policies and benefits available to them. This gives them an edge in competing with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external competitive strategy hypothesis is difficult to verify in the South Korean context, as it is uncommon for disabled persons to compete in the same labor market as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is research demonstrates how and why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attempt to resolve the burden of disability individually rather than collectively. Compared to less educated persons, they have more resources at their disposal, but many South Korean employers do not respect individual personality or skills in the hiring process. Perceived value is only measured by the degree of disability. Persons with disabilities also tend to be isolated, unlike members of other social minorities -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collectively to discrimination. Low social awareness and the pressure of “natural selection” in the employment market further weaken any collective commitment to resolving discrimination issues. Therefore, this study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revealing the personalized burden of employment fac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in demonstrating how highly educated persons with disabilities manage their identities.
more초록/요약
고학력 장애인의 취업 전략은 2가지 이유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우선 고학력 장애인은 고용 차별을 덜 받을 것이라는 편견이 있다. 비장애인 노동시장에서 높은 학력은 채용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장애인 노동시장에서는 고학력 자체가 장애인의 발목을 잡을 때도 있다. 게다가 장애인 고용정책과 고용주의 태도로 인해 고학력 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한 차별을 각자도생으로 헤쳐 나가게 한다. 둘째로, 장애인을 전략적 행위자로 묘사하는데 거부감이 있다. 기존 연구들은 전통적 소수자 그룹인 장애인을 수동적 이미지로 묘사한다. 장애인은 주로 서비스 수혜자나 피해자다. 고학력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적 이미지는 고용 장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고학력 장애인을 장애 범주에서 소외시킨다. 본고는 연구 부족과 고학력 장애인의 소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학력 장애인의 고용 과정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사회정체성이론의 정체성관리전략을 사용하여 취업을 위한 고학력 장애인의 전략을 유형화한다. 사회정체성이론은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에 부여한 가치나 정서적 의미로부터 개인의 정체성이 형성된다고 전제한다. 내집단의 지위가 낮을 경우 개인은 사회정체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정체성을 관리한다. 고학력 장애인들은 상황에 알맞게 장애 정체성을 관리하여 취업 과정에서 높은 사회적 위치를 획득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자는 취직준비경험이 있는 고학력 장애인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고학력 장애인들의 장애정체성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장애 가시성과 생산성에 대한 입장이다. 장애 가시성은 장애가 얼마나 드러나는지를 가늠하는 척도다. 이는 주로 장애 당사자의 외부에서 판단하지만, 장애 당사자도 가시성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장애인의 생산성에 대한 관점도 장애정체성관리에 영향을 준다. 일상적으로 장애인의 낮은 지위를 합당하다고 여기는 장애인은 없지만, 노동생산성의 경우 장애인의 낮은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과 아닌 입장이 갈린다. 취업과정에서 고학력 장애인들의 정체성관리전략은 장애 축소, 내적 경쟁, 외적 경쟁으로 나뉜다. 장애 가시성이 낮으면서 장애인에 대한 저평가를 인정하는 고학력 장애인은 장애를 축소한다. 장애 가시성이 높으면서 비장애인과 지위 차를 정당하다고 여긴다면 내적 경쟁 전략을 사용한다. 내적 경쟁은 장애를 긍정화하거나 자신의 능력보다 더 주어진 복지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집단 내 경쟁에서 우위를 획득하려는 전략이다. 반면 장애 가시성이 높으면서도 장애인의 낮은 지위가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고학력 장애인들이 외적 경쟁 전략을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은 장애인 고용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검증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고학력 장애인의 이기적 측면을 드러내려는 것이 아니다. 연구자가 주목하는 것은 고학력 장애인들이 장애로 인한 구직 부담을 개인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그들의 전략수행방식이다. 물론 이들은 저학력자들에 비해 자신의 자원을 가용할 조건과 능력이 된다. 하지만 이들은 취업 과정에서 풍부한 개인의 성격, 특기 등을 존중받지 못한다. 오로지 장애정도로 그의 가치가 측정된다. 게다가 다른 사회적 소수자와는 달리 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 속에 홀로 고립되어있어 차별에 대한 집단적 대응이 어렵다. 낮은 사회적 인식과 고용시장 내에서의 적자생존 논리는 고용 차별에 대한 집단적 해결 의지를 더욱 약화시킨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로 인한 고용 부담의 개인화를 드러내고, 고학력 장애인이 왜 정체성을 관리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