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성에 대한 조건추론 검사의 예측타당도 연구 : :자기보고형 측정치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Study on predictive validity of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aggression: interaction effect with self-reported measures
- 주제(키워드) 도움말 공격성에 대한 조건추론검사 , 경로화가설 , 자기보고형 측정 , 암묵적 측정 , Conditional reasoning test for aggression (CRT-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윤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9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선발 과정에서 사용하는 자기보고형 성격 검사가 응답 왜곡 등의 문제점을 보이면서, 조직 연구에서는 암묵적 측정도구의 사용을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최근 성격에 대한 연구들은 성격 변인으로 개인 행동을 예측할 때, 성격의 암묵적 특성과 외현적 특성을 모두 고려하는 포괄적인 관점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암묵적 측정 방식과 자기보고형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성격을 측정할 때, 두 측정치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실제 행동을 예측한다. 이 때 자기보고형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인이 인지하고 있는 성격 특성은 이에 대응하는 암묵적인 성격 특성이 실제 행동으로 표현되는 ‘경로’가 된다는 경로화 가설(channeling hypothesis)가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Bing 등의 연구(2007)는 공격성을 측정한 암묵적 측정치인 CRT-A와 공격성에 대한 자기보고형 측정치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조직 장면에서 반생산적 작업 행동 및 일탈 행동,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을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ng 등의 연구(2007)를 확장한 연구로, 암묵적 측정치와 외현적 측정치가 실제 행동을 예측할 때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과 인도로 파견된 주재원들 101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측정 방식인 조건추론검사와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각각 암묵적 공격성과 외현적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주재원의 도움 행동을 준거로 정하여, 주재원의 현지 동료 320명이 이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격성에 대한 암묵적 측정치와 외현적 측정치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주재원의 실제 도움 행동을 예측하였다. 특히 암묵적 공격성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공격 성향을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도움 행동을 보이는 정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이 중에는 자신이 더 공격적이지 않다고 인식할 수록 도움 행동을 더 적게 보였다. 구체적으로, CRT-A 점수는 높지만 자기보고형 공격성 점수는 낮은 ‘잠재된 공격성(latent aggressives)’ 집단에서 도움 행동을 가장 적게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Since self-reported measurement has been found to be vulnerable to social desirability tactics such as fak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ists suggested implicit measurement as an alternative in selection settings. Similarly, recent personality research proposed adopting an integrative perspective which considers both implicit and explici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predict actual behavi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uman behavior in a more fruitful way. Specifically, channeling hypothesis proposed that explici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hanneled the way which implici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in behavior (Winter et al., 1989). To test this theory, Bing et al (2007) measured both implicit and explicit aggression by adopting conditional reasoning for aggression (CRT-A) and self-reported measures, respectively. Both measures predicted the counterproductive workplace behavior (CWB)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n organization setting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apply Bing and colleagues’(2007) model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implicit measures and self-reported measures to predict workplace behavior. Both implicit and explicit aggress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way as in Bing et al(2007), and the participants were expatriates who were dispatched to China or India (N=101). Their host country nationals (N=320) evaluated the expatriates’ helping behavior as a behavioral criter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mplicit aggression and explicit aggression predicted helping behavior of expatriates. Moreover, there was difference in showing helping behavior among the expatriates who gained low CRT-A scores,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y perceived their aggressive propensities. Specifically, latent aggressives who consciously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non-aggressive but implicitly rationalized their aggressive behavior were less likely to show helping behavior. Lastly,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