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구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Composition and Satisfaction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용철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89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현재 대학 무용학과는 소속된 단과대학의 불분명함과 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 이라는 삼분법적인 전공편제에 따른 실기수업위주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학과에서 추구하고 있는 목표와 교육과정이 상응하는지, 소속 단과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현행 대학무용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체계적 설계를 위해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현 교육과정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8개 대학 무용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사항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는 전문무용인양성이라는 큰 틀 아래 각 단과대학이 갖고 있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오늘날 필요로 하는 진정한 무용전문예술인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대학의 무용학과는 한국무용/현대무용/발레라는 3분법적인 전공편제에서 벗어나 무용수(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안무가/무용이론가/공연예술(무용공연연출, 기획, 마케팅, 경영, 분장, 의상 음악 등)/무용교육이 라는 새로운 편제를 통해 각 전공별로 세부적이고 심화된 교육을 실시함으로서 미래의 전문 무용예술인을 배출해내야 할 것이다. 또한, 순수 무용관련 교육 외에 무용경영·기획·마케팅, 무대기술·의상·음악·사진 등 공연관련 전문인과, 재즈댄스, 요가, 필라테스, 댄스스포츠 등 사회무용 전문인을 양성할 수 있는 무용인접분야 과목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영역에서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접 무용 현장에서 체험 수 있는 프로그램(무용지도 워크숍, 공연예술 워크숍 등)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사고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기존의 레퍼토리 습득 형식의 실기수업에서 탈피해 창조적이고 학생 개인의 창작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즉흥수업과 안무구성 수업 등의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가 다양한 현황 조사와 이론적 고찰 및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몇 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유익한 방안을 제시하고 무용교육 발전을 이루는데 긍정적 개선책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초록/요약
Present,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s demand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practical-focused class according to being divided in the three major parts such as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with obscurity of college belonging. Along with this,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as reviewing whether the aim to pursue in modern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meets with its curriculum and whether the curriculum is composed organically of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belonged college.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a right curriculum as researching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in contemporary curriculum through the question sheets on the students at university for organized curriculum plan. Above all, this study grasped the conditions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n Korea, analyzed the conditions of university situated in Seoul city and researched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curriculum on junior and senior students of 8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situated in Seoul city based on conten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the education aim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should present in detail and concretely the educational contents as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of each college under a main frame growing professional dancer and be composed organically of growing true dance-professional artist necessary in present.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should produce professional dance artists in future as practicing a detail and intensive education depending on each major through new composition called as dancer(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dance director, dance theorist, performance art(dance performance producer, project, marketing, management, decoration, dress, music, etc.) and dance education from major composition being divided in the three major parts such as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And the dance department should be able to give a help to choose the job in the various areas as activating the dance-neighbored fields to grow social dance professionals such as the performance-related professionals of dance management · project · marketing, stage technology · dress · music · photo, etc. and the social dance professionals of jazz dance, Yoga, pilates, dance sports, etc. besides dance-related education. Also, it should give a chance to gain various thoughts as activating the programs (dance-instruction workshop, performance-art workshop, etc. ) possible to experience directly in the dance spot to the students. The dance department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s such as improvisatorial class, dance composition one, etc. possible to grow the creative power of each student from the practical-focused class of existed repertory-learning method.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based on reviewing various conditions, considering theory basis and researching satisfaction presents a plan beneficial to the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n Korea and expects to use as a positive improvement for developing the dance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