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성격유형과 U&I 학습성격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탐색적 분석
An Exploratory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MBTI Personality Preference and U&I Learning Type
- 주제(키워드) 도움말 MBTI 성격유형 , 선호지표 , 기능유형 , 기질 , U&I 학습성격유형 , 학업성취도 , MBTI , U&I , Academic Personality Types ,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85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개인의 타고난 기질적 성격유형을 측정하는 MBTI와 개인의 학습유형을 측정하고자 개발된 U&I 학습성격유형으로 측정되었을 때 어떤 관계성을 보여주는 지 그리고 두 성격유형과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Jung의 심리적 유형(psycholgical type)이론 을 바탕으로 개발된 MBTI와 Keirsey의 기질이론을 근거로 개발된 U&I 학습유형검사는 현재 한국의 학교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격유형검사 척도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광범위하게 입증되어 있다. 연구 대상자들은 서울 소재 남·여 고등학교 재학 중인 1~2학년 학생 602명이었고 동 학년의 1학기 학기말 국어, 수학, 사회, 과학 4과목성적의 계열별 전교 석차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에 의해 처리되었고 MBTI 4가지 선호지표, 기능유형, 기질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 요인에 대해 석차백분율을 종속변수로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U&I 학습성격유형이 학업성취도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서는, 4가지 집단으로 구성되는 기본 학습성격유형의 집단 간 석차백분율의 평균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4개 집단 중 어떤 집단의 석차백분율의 평균이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MBTI 기질유형과 U&I 학습성격유형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먼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각각 4개 집단으로 구성되는 두 성격유형 간의 독립성을 여부를 확인하였고 4x4 교차빈도 분석을 통해 유사성이 있을 것으로 가정이 되는 성격유형의 쌍(SP기질-행동형, SJ기질-규범형, NT기질-탐구형, NF기질-이상형)의 합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MBTI 기질유형과 U&I 기본 학습성격유형이 개별적 또는 상호적으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 요인에 대해 석차백분율을 종속변수로 하는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4가지 선호지표에서는 직관보다 감각의 성향이, 감정보다 사고의 성향이, 그리고 인식보다 판단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적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과 기질적인 분류에서도 각 유형사이에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U&I 학습성격유형 중에서는 규범형과 탐구형이 행동형과 이상형보다 높은 성적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BTI 4가지 기질과 U&I 4가지 학습성격유형의 합치성에서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높은 합치성을 확인하였고 유사성이 가정되는 쌍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해 본 결과 SJ와 SP는 규범형의 학습방법을 선택하였을 때 NT와 NF는 탐구형의 학습방법을 선택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질적인 성격유형과 학습성격유형의 합치성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성격유형에 따라 적합한 학습방법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학교 현장 및 상담 장면에서 서로 다른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과 행동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 또한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wo well-known personality type instruments, MBTI and U&I, in South Korea. A total of 602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in Seoul (one is a male school in Gangnam while the other is a female school in Gangse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leting both MBTI and U&I.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with a total score of four core subjects (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obtained in the previous semester.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 types on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percentile rank of the test score according to their MBTI dichotomies, temperament styles, and the U&I academic personality type(APT) was analyzed by applying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BTI temperament styles and the U&I APT, chi-squared test was applied and the degree of accordance between hypothetically corresponding pairs of temperament styles and the U&I APT (SP & Actual-Spontaneous Learner, SJ & Actual-Routine Learner, NT & Conceptual-Specific Learner, NF & Conceptual-Global Learner) were examined by using 4x4 cross-tabulation. Also, two-way ANOVA was applied to assess the main effect of the two personality types and any interaction between them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four pairs of dichotomies, students preferring sensing rather than intuition, thinking rather than feeling, and judging rather than perceiving show higher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ces in their temperament styles and functional style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terms of the U&I APT, Actual-Routine Learner and Conceptual-Specific Learner show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Actual-Spontaneous Learner and Conceptual-Global Learner. Regarding hypothetically corresponding pairs of temperament styles and the U&I APT, a high degree of accordance between the pairs is observed partly in some personality types. When it comes to academic achievement, SJ students and SP students are likely to show higher academic performance when they are Actual-Routine Learner and NT students and NF students are likely to show higher academic performance when they are Conceptual-Specific Learner. The results verify correspondenc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BTI temperament styles and the U&I APT and suggest that when students' temperament styles properly match their academic personality types students may achieve better. This provides a clue how students can be guided in the school field and counseling scenes in order to learn knowledge and skills efficiently. Discussion for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is also includ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