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도>를 활용한 <구운몽>의 융합교육 방안 연구
The convergent education method of <Guunmong> by using <Guunmongdo>
- 주제(키워드) 도움말 구운몽 , 고전교육 , 구운몽도 , 융합교육 , 문학적 상상력 , 회화적 상상력 , 언어적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Guunmong , education of classic literature , Guunmongdo , convergent education , literary imagination , pictorial imagination , verbal image , visual imag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현주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85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구운몽도>를 활용하여 <구운몽>을 학습자가 삶에 환치시켜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 교육 방안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운몽>과 <구운몽도>가 상호 교감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구운몽도>에서 나타나는 문학적 상상력과 <구운몽>에서 나타나는 회화적 상상력을 분석하고,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라는 공통점이 있는 <구운몽>과 <구운몽도>에 대한 융합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구운몽>은 유명한 고전작품이지만 <구운몽>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학습자는 많지 않다. 학습자와 고전작품 사이에 의미 있는 교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구운몽>은 학습자에게 가치를 지닌 고전으로 인식될 것이다. 그에 대한 방안으로 선인들이 <구운몽>을 향유했던 방법 중에 하나인 <구운몽도>를 활용하여 <구운몽>의 융합 교육 방법을 설계하였다. <구운몽도>를 활용한 <구운몽>의 융합 교육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은 <구운몽>과 <구운몽도>의 관련 양상 분석이다. <구운몽>과 <구운몽도>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예술 작품이다. 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구운몽>에서 회화적 상상력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구운몽도>가 그려진 것이다. 회화적 상상력을 표현하는 <구운몽도>는 <구운몽>의 제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적 상상력이 느껴진다. <구운몽>과 <구운몽도>의 표현적 대응 양상을 분석한 뒤, 문학과 회화의 상상력을 교차시켜 <구운몽>과 <구운몽도>를 살펴보았다. 우선, <구운몽도>에서 문학적 상상력이 나타난 부분을 확인하였다. <구운몽도>가 서사를 재현하고 있는 방식을 분석하고, 관람자가 공감한 내용과 주제를 8첩과 10첩 병풍 <구운몽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림에 모든 서사를 담을 수 없기 때문에, 독자들이 많이 기억했던 부분이 병풍의 제재로 채택되어 향유되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구운몽>에 나타난 회화적 상상력을 확인하였다. 회화적 속성이 느껴지는 언어를 분석하고, 독자들이 그림처럼 느낄 수 있는 환상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구운몽도>를 활용한 <구운몽>의 융합교육 방안을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하여 설계하였다. 문학과 그림은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구운몽>의 언어를 통해 떠올리게 되는 지각적 인상의 이미지와 <구운몽도>의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하였다. 융합교육방안의 설계는 문학작품을 읽고 문학을 이미지화 하는 단계,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문화적 맥락으로 그림을 읽는 단계, 문학 이미지를 미술 작품으로 구상해 보는 단계, 융합된 이미지의 소통 단계로 구성하였다. 문학작품을 읽고 문학을 이미지화 하는 단계에서는 <구운몽>을 심미적 독서와 함께 이미지화 하고 개관적 학습을 한다.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문화적 맥락으로 그림을 읽는 단계에서는 <구운몽도>를 보며 문화적 맥락에서 세부적인 학습을 한다. <구운몽>을 읽고 <구운몽도>를 감상하면서 이미지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학습자는 작품을 보며 형성된 반응을 모둠원과 소통하면서 더 명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문학 이미지를 미술 작품으로 구상해 보는 단계에서는 <구운몽>을 읽으며 떠올렸던 이미지와 <구운몽도>의 시각적 이미지의 상호 관련을 통해 자신의 관점에서 <구운몽>의 내용을 선택하여 자신만의 <구운몽도>를 구상해본다. <구운몽도>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의 교환과 통합이 이루어지고, <구운몽>과 <구운몽도>의 상호 관련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이 심화될 수 있다. 융합된 이미지의 소통 단계에서는 재구성한 <구운몽도>의 이미지를 발표와 토의를 통해 서로 공유하며, 서로의 생각을 확인하는 시간을 갖으며 생각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구운몽도>를 활용하여 <구운몽>을 교육하는 것은 문학에서 미술로의 영역확장이 이루어지며 감수성 교육이 가능하고, 상상력을 통한 이미지 통합이라는 면에서는 창의성을 배양 할 수 있다. <구운몽>과 <구운몽도>의 상호 교감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두 작품을 학습자의 방식대로 수용해 보고, 의미 있게 변용시키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자에게 고전이 지니는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자와 고전작품의 사이를 가깝게 해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convergent education method that a learner cross <Guunmong> over his life for taking pleasure <Guunmong> actively by using <Guunmongdo>.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t firstly looks up Guunmog’s imagination of literature and Guunmongdo’s imagination of picture because their interaction base on mutual consensus and then examines the convergent education method for <Guunmong> connected with <Guunmongdo> by using images as a measure because <Guunmong> and <Guunmongdo> have images based on imagination in common. There are not many learners who apprehend <Guunmong> rightly although this work is standing in korean works. If a learner is educated in the way to create meaningful interchange between a learner and a literary work, it would be possible for <Guunmong> to be a significant work to a learner. Therefore, I suggest the convergent education method by using <Guunmongdo> that was selected as one of ways for enjoying <Guunmong> by forebears. In order to map out convergent education method for <Guunmong> by using <Guunmongdo>, the first thing this study have to do is the analysis on related aspect between <Guunmong> and <Guunmongdo>. Theses two works are based on imagination. Since it is pictorial imagination that can be felt inside <Guunmong> based on the literary imagination, <Guunmongdo> could be painted. <Guunmongdo> showing the pictorial imagination reveals the literary imagination as it can be painted by using materials of <Guunmong>. This study examines <Guunmong> and <Guunmongdo> in the way of intersecting both the literary imagination and the pictorial one.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s the part of literary imagination in <Guunmongdo>. The author investigates how <Guunmongdo> reconstruct narration and then looks into topic and content that audiences empathize with by taking focus on folding screen <Guunmongdo> 8,10 fold. As the painting cannot contain all narrations, the parts that were memorized substantially by audiences are selected for elements in folding screen. Next, this study confirms the part of pictorial imagination in <Guunmong>. Investigation of the style of writing which reveals pictorial imagination in is done and confirmation of the fantasy that audiences can feel in paintings. Based on upper content, this study constructs a direction focused on learner's response. Because literature and painting have a similarity such as images based on imagination, the author utilizes the perceptual image coming from the <Guunmongdo>. This design of convergent education method has four phases. First phase is imagification after reading a classic work of literature, second phase is appreciation of literature as cultural context, third phase is conception of a work of art fromliterary image, and fourth is communication of a convergent image. With asthetic reading, learners studies <Guunmong> and imagines something in the imagification phase. In the appreciation phase, learners appreciate <Guunmongdo> as a cultural context. Expansion of image comes after reading <Guunmong> and appreciating <Guunmongdo> and learners can make response formed clearer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his group members than before. Learners select in their view and design their own <Guunmongdo> through using relation of Guunmong’s image and Guunmongdo’s visual image in the conception phase. The conception phase allows learners to integrate and switch images. By doing so, learners can have stronger response. In the communication phase, learners can expand their understanding on literature by sharing their ideas through presentation or discussion on reconstructed Guunmongdo’s image. Education of <Guunmong> using <Guunmongdo> enables learners to develop creativity. Considering aspect of integrating images through imagination, it is possible for a instructor to teach literature with sensitive education. Moreover, it will be help to be expansion from literature to the art.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Guunmong> and <Guunmongdo>, learners can link both works to their lives when they try to accept and change both works meaningfully. All these steps allow learners to learn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and offer a friendly way to study literature to learn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