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영어교과서 문법교육에 관한 중학교 학습자의 인식연구
- 주제(키워드) 도움말 연역적 문법제시 , 귀납적 문법제시 , 2009 개정 영어교과서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유원호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83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세계화, 다양화 속 의사소통중심을 목표로 개정된 중학교 1,2,3학년 개정 영어교과서를 분석하고 이 교과서를 통하여 영어문법학습을 하는 서울의 모 중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개정교과서 내 문법교육에 관한 인식 및 태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분류된 집단 간 인식을 비교해 봄으로써 문법교육 및 학습활동의 만족도롤 분석해 학교 영어교육의 개선안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영어 교과서는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언어형식의 단계적, 구체적 연계성을 가지고 심화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문법 기본서와의 비교에서는 개정 교과서가 다양한 언어형식의 제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 교과서의 문법 제시 방법은 대체로 언어형식에 대한 설명을 도입부에 제시하지 않고 연습문제를 통해 학습자들의 발견학습을 유도하는 귀납적 제시방법을 따르고 있지만 주요한 언어형식을 굵은 글자체로 강조하고 단순한 연습문제의 제시가 많아 연역적 제시방법과 혼용되어 있다고 보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개정교과서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문법, 쓰기 학습 영역 중 문법영역이 가장 강조되어 있다고 인지하며 개정 교과서 제시 순서에 반하는 본문 읽기 학습 전 문법학습을 먼저 배우고 싶어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문법 규칙에 관한 설명을 먼저 명확하게 배운 후 예시문이나 연습 문제 등을 풀어보는 연역적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들의 숙달도 차이에 따른 문법학습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크게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 중, 하 세 그룹의 학생들 모두 학습자 스스로 언어규칙을 찾아보는 귀납적 문법학습 보다 연역적 학습방법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와 같이 개정 영어교과서는 다양한 언어형식의 구성이 요구되고 언어형식 제시 영역이 좀 더 다양해진다면 학습자들은 더 많은 영어의 언어형식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의 더 정확성이 높은 언어사용의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개정 교과서의 문법제시 방법이 학습자의 발견학습을 위한 귀납적 제시방법을 따르고 있다는 전제 하에 교과서 내 규칙발견을 위한 다양한 연습문제의 제시가 필요하고 학습자들이 원하는 교과서 내 언어형식의 제시가 선행하며 규칙을 명확하게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에 교사들 또한 우리나라 학습자들의 문법 교육에 관한 학습 방법 선호도를 고려하여 문법 규칙의 설명을 명확하게 지도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rammar content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consider 3rd graders' attitude about English grammar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lso, this study examines level-differentiated students' perception whether they have different ideas and preference about grammar instructio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ammar contents in the English textbook have gradually intensified and specific as higher grades. Second, revised textbook follows inductive method in terms of grammar structure and contents organization but deductive method also is used in terms of emphasizing the grammar point at the beginning of grammar practices. Thirdly, third graders think the revised textbook emphasizes on grammar section amo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grammar and writing sections and they want to learn grammar before having reading instruction. Also, they prefer deductive method which gives the students a new concept first and then makes learners practice using the concept to inductive method which presents the students with a variety of examples for a given concept first and then learners will notice how the concept is to be used and determine the grammar rule. Finally, level-differentiated students do not have different perception about grammar instruction. Students of three different groups have preference for deductive over inductive grammar instru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for the better education of grammar in the middle school. Even though revised English textbook is presented one or two grammar activities, it was not enough to lead students acquiring their own linguistic rules. Students need a lot of chance to use grammar structures and have to have various kinds of grammar exercises. Moreover, teachers should instruct grammar explicitly in the light of students' preference of grammar instru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