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과 조율의 변증법 : ―이청준 소설의 자기형성적 텍스트성 연구―
Dialectics of Splitting and Tuning: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Lee Chung-jun’s Novels
- 주제(키워드) 도움말 자기형성적 텍스트성 , 자기 분열 , 조율 , 자기반영적 글쓰기 , 반복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우찬제
- 발행년도 2016
- 학위수여년월 201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879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Abstract] Dialectics of Splitting and Tuning: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Lee Chung-jun’s Novels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anew the problems of ‘ego’ and ‘modernity’, the main themes having run through the spheres of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since the 1960s by analyzing the whole range of Lee Chung-jun’s works. In Lee Chung-jun’s novels these themes have been embodied evidently a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exploring persistently the textuality of writ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whole range of Lee Chung-jun’s lifework, Reading and studying Lee Chung-jun’s text make it possible to reconstruct the era of about forty years which Lee Chung-jun and his contemporaries experienced as cultural and historical stratum, which enables us to imagine the big framework of ‘the episteme of modernity’ where the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aspects constitute the patterns of difference and sameness while intersecting and repeating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In that sense, Lee Chung-jun’s texts become a cultural sign as a concrete entity made by a singular individual and a product originated from the particular age’s culture surpassing the level of a writer’s lifework. The themes which Lee Chung-jun explored persistently are related to ‘I’ or ‘self’ and the spirit conscious of it. In Lee Chung-jun’s novel, the themes of modernity and subject are embodied as the textuality of writing and texts themselves, the formal results of it. In Lee Chung-jun’s novel, textualitiy is generated from the place where texts refer to and identify themselves or in other words one text reveal the text itself, which in the literature manifest in the way that the works in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ext in the inside of them for themselves. In this study, I limited the scope of analysis to Lee Chung-jun’s lifework. which have attained the circulation cycle self-containedly such as emergence-development-construction-deconstruction-reconstruction in the aspect of self-formation,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extuality. Thus, this study extracts the general constant, which cannot only be utilized in interpreting Lee Chung-jun’s texts but also applied to other writers’ texts through analysing Lee Chung-jun’s whole lifework. Lee Chung-jun’s novels have a distinctive position in the respect that they provide the constant framework which can be generally applied to dimensions of both structural forms and contents. His novels are the important achievements which Korean literature has won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nd surpassing its tasks of the times, that is modernity after Korean War. The constant entity extracted from Lee Chung-jun’s whole texts is the model of the self-formative textuality this study’s title. The features of self-formative are constructed in the way that the texts designate, refer to, and support themselves in the novels and novellas. The self-formative textuality of Lee Chung-jun’s novel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flective and self-begetting texts distinctively. The work investigating dynamic principles and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self-formative textuality in a writer’s whole lifework has the meaning of establishing the field for thought experiments and the systematic units for the theorization. While determining the self-formative textualities composed of the cycles of construction-deconstruction-reconstruction, this study examines carefully both real figures and details of the singular texts and general features of textualities as models of units for universal reading. The concept of textuality based on principles of deconstruction and dialectics is very helpful model in analysing various texts and furthermore other cultural formations in general. Through taking both synchrony and diachrony of Lee Chung-jun’s texts into account, this study extracts inner logics in his lifework developing dialectically and brings its unique historicity to light in suggesting the new paradigm in the study of writers. In the case of Lee Chung-jun’s texts, this textual mechanism and formulation are driven by the dialectical movements working between the inner ‘splitting’ and the ‘tuning’ of the self-consciousness to achieve self-identity of their characters, writer and the texts themselves. First, in chapter II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self-reflexive writing in Lee Chung-jun’s novels, and reveals the ‘splitting’ is the origin of textuality. In Thematics, related to the thematics of literature and the philosophical thinking, it deals with characters(named Cogito-ego) wanting to reach their own real selves only to realize the impossibility of it. In Discourstics, the way the contents analyzed in Thematics have been embodied into the forms and narrative discourses has been shown. in Lee Chung-jun’s novel’s. In Dialectics,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aspect in which Thematics and Discourstics dialectically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constitute in earnest the structure of textuality. Secondly, in chapter III this study analyzes frames which work as the limist of textuality and explains how impulse for framing and meta-writing works in Lee Chung-jun’s novels. In Thematics, it reveals this impulse has been expressed as the passion for reality and laws of the mind. In Discourstics, it proves that the pursuit of framing is embodied in framing narrative, serial narrative, and intertextual technique etc. on the formal level. In Dialectics, this study develops into the exploration of the limits of textualities which repeatedly construct and deconstruct themselves in the third dimension. This thought has been embodied in the invention of the minimal difference and the writing of eventuality in Lee Chung-jun’s novels. Thirdly, in chapter IV this study explores the undecidability as a principle of practice and explains how this characteristics could embody in writing of dissemination. In Thematics, the poetics of the undecidabili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deconstruction of transcendental idea in Lee Chung-jun’s novels. In Discourstics, the theme of deconstruction is embodied in the discourse structure of ag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negotiation. In Dialectics, this study reveals the process that the acts of writing and reading take part of practice in the network of textualities while be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the written texts in Lee Chung-jun’s novels. In this stage, textual meaning assumes the form of double writing, going beyond the range of author’s intention, telling the double truth unconsciously. Lee Chung-jun inquired into the matters why he should do and what he could do with his writing all his life. In this respect, Lee Chung-jun’s novels are the fruits of hard work to establish and reestablish his own identity. In his case, these multi-layered and omnidirectional textualities are embodied in the lifework achieved all his lifetime, show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the individual historicity
more초록/요약
[국문초록] 분열과 조율의 변증법 ―이청준 소설의 자기형성적 텍스트성 연구 본 연구는 이청준의 작품 전반을 분석함으로써 1960년대 이후 한국 문화계와 문학을 아우르는 중심 주제였던 ‘자아’와 ‘근대성’의 문제를 새롭게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청준이 집요하게 탐색했던 주제는 무엇보다 ‘나’ 즉 ‘자기 자신’과 이를 의식하는 정신에 관련된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전후 사회. 문화를 관통해온 시대적 과제이자 징후인 ‘근대성’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이러한 주제는 글쓰기의 ‘텍스트성(textuality)’에 대한 집요한 탐색의 과정과 이에 따른 결과로서 뚜렷하게 형상화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이청준의 생애작품(lifework) 전반으로 한다. 이청준의 텍스트를 통해서 우리는 이청준과 그의 동시대인들이 체험했던 약 40여 년에 이르는 시간대를 하나의 문화적, 역사적 지층으로 재구성하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독해를 통해 전근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양태들이 차이와 동일성의 패턴을 이루면서 교차하는 가운데 생성과 해체를 반복하는 ‘근대라는 에피스테메’의 큰 틀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특수한 한 개인이 만들어낸 구체적인 실제이자 특정 세대의 문화가 낳은 산물이기도 한 이청준의 텍스트는 ‘생애작업’의 수준을 넘어서는 문화적 기호가 된다. 이청준이 집요하게 탐색했던 주제는 무엇보다 ‘나’ 즉 ‘자기 자신’과 이를 의식하는 정신에 관련된 것이었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근대성과 주체에 관련된 주제는 글쓰기의 ‘텍스트성’에 대한 탐색과 그 형식적 결과물인 텍스트 자체로서 구현된다. 이청준 소설에서 ‘텍스트성’은 텍스트가 스스로를 지시하고 확인하는 것, 다시 말해 하나의 텍스트가 ‘텍스트’라는 점을 드러내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는 문학 속에서는 작품이 자신이 갖고 있는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스스로 자신의 내부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이청준의 ‘생애작품’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짓는 것은 이청준의 소설들이 동시대 어떤 작가보다 폭넓은 스펙트럼을 획득했다는 증거가 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텍스트성의 중요한 특징인 ‘자기형성(self-formation)’의 측면에서 볼 때 발생-전개-구성-해체와 재구성이라는 운동의 순환 주기를 자족적으로 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이청준의 소설 전작을 분석함으로써 개별적인 텍스트 분석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다른 텍스트들의 독해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불변체를 추출하고자 한다. 내용뿐 아니라 형식의 차원에서, 다시 말해 구조의 측면에서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불변체적 틀을 도출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청준의 소설은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그의 소설은 전후 한국의 현대문학이 ‘근대성’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대결하고 이를 넘어서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에서 얻어낸 중요한 성과물이다. 이청준의 소설 전작에 대한 세밀한 독해로부터 재구성해낸 불변체적 요소, 바로 그것이 본 연구의 제목이기도 한 ‘자기형성적(self-formative) 텍스트성’이라는 모형이다. 텍스트의 자기형성적 특질은 소설 속에서 텍스트가 자기 자신에 대해 지칭하고, 스스로를 참조하며,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이청준 소설의 자기형성적 텍스트성은 자기반영적(self-reflective)이면서 자기발생(self-begetting)적인 특징을 강력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소설의 자기 발생적 성격이야말로 바로 ‘텍스트성’의 핵심을 구성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다. 한 작가의 전작 속에서 ‘자기형성적 텍스트성’의 역동적 구성 원리와 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작업은 연구를 위해 전략적으로 선택한 사고 실험의 장(場)이자 이론화를 위한 단위들을 설정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청준의 텍스트들 속에서 구성-해체-재구성의 순환 과정을 거치며 자기 형성되는 텍스트성의 실체를 밝혀냄으로서 본 연구는 특정(singular) 텍스트의 구체적인 모습과 실상을 충분히 살펴보는 동시에 보편(universal) 텍스트의 구성 원리인 ‘텍스트성’의 총체적인 모형 단위를 재구성한다. 텍스트의 구성과 해체의 원리, 변증법에 기반을 둔 텍스트성의 개념은 시대를 초월하는 다른 서사들, 텍스트 일반, 나아가 여러 층위를 가로지르며 마치 모듈과 같은 형상으로 짜인 문화적 구성체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모형이다. 생애작품의 통시성과 공시성을 동시에 고려한 본 연구의 구성은 그의 ‘생애작품’ 내에서 변증법적으로 발전·전개되는 내적 논리를 추출해 이에 따라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고유한 역사성을 밝혀냄으로써, 작가론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청준 소설의 경우, 이러한 구성 방식은 자기반영적 의식을 통해 일어나는 내속적인 ‘분열’과 자기 정체성의 규정을 위해 벌이는 ‘조율’의 상반된 움직임이 벌이는 변증법적 운동에 의해 추동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청준 소설을 ‘분열과 조율의 변증법’이라는 표제 아래 헤겔이 구명(究明)한 변증법적 운동과 구조의 실체를 다양한 층위에 걸쳐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먼저 II장에서는 이청준 소설에 자아의 분열과 자기반영적(self-reflexive) 글쓰기가 나타나는 부분을 집중 조명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분열이 텍스트성의 기원임을 밝힌다. 문학에서의 주제학(thematics)과 철학적 사유방식을 다루는 주제부(Thematics)에서는 생각을 통해 자아에 도달하고자 하나 이 일의 불가능함을 인식하는 코기토(cogito)-자아의 출현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각론의 두 번째 항목인 담화부(Discourstics)에서는 분석된 내용이 소설의 형식과 서사담화로 구체화된 양상을 분석한다. II장의 담화부는 ‘텍스트성’이 어느 한 개념으로 특정화할 수 없는 경계, 틈, 즉 ‘사이(in-between)’에서 작동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이러한 위상은 자서전적 텍스트성으로 표현된다. 마지막 항목인 변론부(Dialectics)에서는 주제부와 담화부 층위에서 각각 분석한 내용이 변증법적으로 상호 침투함으로써 본격적으로 텍스트성의 구조를 이루는 양상을 분석한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이는 서사 속의 자아와 연행으로서의 글쓰기로 나타난다. 각 층위에서 이루어지는 텍스트의 연행은 독립적이면서 서로가 서로의 연행에 대한 알레고리가 된다. 서사 속에서 하나의 자아를 창조하는 일 역시 자신의 반복으로서 ‘분신’을 만드는 행위와 동일한 원리에서 이루어진다. 자서전적 텍스트 속에서 실제의 ‘나’와 서사 속의 ‘나’, 그리고 실제 삶과 허구화된 삶 사이에는 동일시와 차이라는 상반된 해석의 역학이 동시에 작용한다. 이때 반복은 ‘나’와 ‘비아(non-self)’ 사이의 관계를 결정짓는 계기가 된다. 허구의 작가가 집요하게 허구성을 추구하는 이유 역시 반복에 대한 충동 때문이다. 이때 유용한 것이 진실의 생성을 위한 무대이자 장으로서 ‘허구성’에 관한 이론이다. III장에서는 텍스트성의 경계로서 작용하는 틀에 대해 다루고, 이청준의 소설에서 틀-짜기(framing)와 메타적 글쓰기를 향한 충동이 드러나는 양상을 설명한다. 이 장의 각론인 주제부에서는 이러한 충동이 실재에 대한 열정과 마음의 법칙으로 표현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다음 담화부에서는 이청준의 소설에서 틀 짜기에 대한 추구가 형식 층위에서 액자서사, 연작서사 등 다양한 실험적인 서사 양식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의 소설에서 이러한 추구는 경계에 대한 탐색과 상호텍스트(intertext) 기법으로 표현된다. 마지막 변론부에서는 주제와 담화 층위에서 동시에 벌어지는 틀-짜기의 행위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제 3의 차원에서 생성과 해체를 반복하는 텍스트성의 경계에 대한 사유로 발전하는 양상을 탐색한다. 이는 이청준의 소설에서 최소 차이(minimal difference)의 발명과 사건으로서의 글쓰기로 나타난다. ‘사건’은 “존재로서의 존재가 아닌 것” 즉 항상 상황에 내재적인 동시에 존재의 질서를 위반하는 것으로서 상황에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한편으로는 상황에 속하지 않는 공백으로서 스스로를 현시한다. 진리는 공백의 현시와 ‘개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특정한 상황에 출현하게 된다. 이청준의 소설은 바로 이러한 ‘사건성(événementialité)’으로서의 글쓰기를 보여준다. IV장에서는 텍스트성의 실천원리로서의 미결정성에 대해 탐색하고 이러한 특성이 이청준의 소설에서 산종(dissémination)의 글쓰기로 표현되고 있음을 밝힌다. 주제부에서는 이청준의 소설에서 미결정성의 시학이 ‘초월적 이념(idea)의 해체’라는 주제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살핀다. 이청준의 소설은 작가가 명시적 혹은 은유적인 방법으로 제시하는 초월적 이념들을, 같은 텍스트 안에서 교묘한 방식으로 부정한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용서’다. ‘용서’라는 주제는 ‘용서(애도)의 불가능성’이라는 상태로 표현된다. 이청준의 소설들이 종결부에서 매번 미결정성과 재현불가능성이라는 아포리아에 부딪히는 이유는 바로 글쓰기를 불가능한 용서의 가능성을 실험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메타-글쓰기적 실천을 통해 그의 글쓰기는 행위 또는 사태 그 자체에 개입하게 된다. 아포리아의 순간은 ‘주체성’이 발생하는 지점을 가리키는 결정적인 좌표다. 현실의 모순에 의해 기존의 법칙이 폐기되는 지점에서 주체는 스스로 틀을 만들고 부수면서 자기를 정립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틀을 깨뜨리며 확산되는 산종(dissémination)의 운동으로 이어진다. 담화부에서 이러한 해체의 주제는 아곤(agon)의 담화구조와 협상으로서의 서사구조로 형상화된다. 변론부에서는 이청준의 소설에서 쓰기와 읽기라는 행위가 쓰인 글의 내용과 공명하면서 텍스트성의 그물망에서 실천의 일부를 담당하는 과정을 밝힌다. 이 단계에서 텍스트의 의미작용은, 저자가 의도가 미치는 범주 너머로 나아가, 저자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중의 진실을 말하는 ‘이중 글쓰기’의 형태를 띤다. 독자의 읽기는 의미의 산종이 발생하는 결정적 지점이다. 독자의 독서 행위에 의해 텍스트를 다양한 맥락에 재배치할 때마다 텍스트는 다시 쓰여지며 쓰기/읽기라는 이항대립은 해체된다. 이청준 소설의 소설은 독자라는 타자의 ‘응시’ 를 이미 자신의 텍스트 안에 내장하고 있다는 의식을 투명하게 보여준다. 그 결과 텍스트의 의미는 도래할 독자에 의해 반복해서 다시 쓰여져야 할 것으로 무한히 연기된다. 이청준의 소설에서 반복해서 발명되어야 할 대상으로 남아있는 독자의 자리는 모든 가능성이 소거된 이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희망 혹은 기대를 상징하기도 하고 고정된 체계를 뒤흔드는 불안의 외상적 핵심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청준은 평생 자신의 글쓰기를 두고 왜 하는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탐문해온 작가다. 그런 점에서 이청준의 소설은 텍스트 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설정하고 재정립하려는 노력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이청준의 경우 이러한 중층적이고 전방위적인 시도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진 생애작품(lifework)으로서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시대적 맥락과 개인의 역사성의 조응을 관찰할 수 있는 소중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나아가 이청준이라는 작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은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