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배경음악이 건강한 음식과 비건강한 음식의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background music on consuming healthy and unhealthy foods.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속도(Tempo)와 선호도(Likability)가 소비자의 음식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빠르고 듣기 좋은 음악은 높 은 인지적 할당을 요구하며, 반대로 느리고 듣기 싫은 음악은 낮은 인지적인 자원을 할 당을 한다고 한다. 그리고, 높은 인지적 자원을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비건강한 음식을 선 택률이 높다는 연구가 존재한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음악을 4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음 식의 유형이 건강한지 비건강한지에 따라서 그 소비량이 달라질 것임을 예측하였다. 구 체적으로, 음악의 ‘속도’가 빠를 경우와 ‘선호도’가 높을 경우, 음악에 더 많은 집중 을 하기 때문에 인지적 부하가 많아지고 결국 비건강한 음식을 더 소비하게 된다. 반대 로 음악의 ‘속도’가 느릴 경우와 ‘선호도’가 낮을 경우에는 음악에 많은 집중을 하 지 않게 되고 인지적 부하가 낮아지게 되어 결국 본인의 건강을 생각하게 하는 건강한 음식을 더 소비하게 되는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실험 1에서는 1가지 음악을 4가지 형태로 변형하였고 15분 동안 참여자들에게 건강 한음식인 '오곡과자'와 비건강한 음식인 '코코아 쿠키'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참여자들은 음악의 속도가 빠를 경우에서만(선호도에서는 효과가 없음) 비건강한음식을 더 많이 소비했다. 그러나 건강한 음식의 경우에서는 음악의 속도와 선호도의 효과가 나 타나지 않았다. 실험2에서는 4가지의 각각 다른 형태의 음악을 사용하였고 15분 동안 참여자들에게 건강한음식인 '콘시리얼 곡물 바'와 비건강한 음식인 '초코칩 쿠키'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참여자들은 음악의 속도가 빠를 경우와, 음악의 선호도가 높을 경우에 비건강 한 음식을 더 많이 소비했다. 반대로, 건강한 음식의 경우에서는 음악의 속도가 낮을 경 우에서 더 소비하였지만, 가설과는 반대로 선호도가 높을 경우에서 더 소비하였다. 그러 나 두 실험 모두에서 음악의 속도와 선호도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usic tempo and its likability have an effect on consuming healthy and unhealthy foods. According to prior research, fast tempo music and liked music require high cognitive resources. On the other hand, slow tempo music and unliked music require low cognitive resources. Moreover, under the situation where high cognitive resources is needed, consumer choice more unhealthy and hedonic option than healthy and utilitarian option. Therefore, this study expect that in fast tempo music and liked music condition, participants will consume more unhealthy foods than healthy foods. In contrast, in slow tempo music and unliked music condition, participants will consume more healthy foods than unhealthy foods. Experiment 1 shows that only music tempo has an main effect on unhealthy foods consumption. However, there is not any effect on healthy foods. Changing stimuli, Experiment 2 was proceeded. Experiment 2 finds that both music tempo and likability have an main effect on unhealthy foods consumption. And it finds that only music tempo have an main effect on healthy foods consumption. Both Experiment 1 and 2, there i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o and likabi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