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홍상수 영화의 '사실적 영화연기' 연구 :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강원도의 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stic Film Acting in Hong Sangsoo’s Films: Focused on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and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초록/요약

본 논문은 홍상수의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1996)과 <강원도의 힘>(1998) 사례에서 ‘사실적 영화연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사실효과’ 구축에 기여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오 브라이언(M. L. O’Brien)의 영화연기분석방법(film acting analysis method)을 방법론으로 활용하여 배우의 연기적 측면과 영화기술의 촬영적 측면의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특히 전체 영화의 숏들 중에서 배우의 연기가 주가 된 ‘자발적 연기’숏들과 배우의 연기보다는 영화 구조를 위해 배우의 출연이 요구되는 ‘비자발적 연기’숏들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기적 측면에서는 추출된 ‘연기 숏’을 토대로 각 배우의 ‘연기’를 별도로 분석하고, 촬영적 측면에서는 각 인물별 부감 숏, 풀숏/롱숏, 롱 테이크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촬영방식이 어떻게 배우의 연기에 개입하고, 인물의 성격을 만들며 내러티브와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홍상수 영화의 ‘사실적 영화연기’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배우들의 연기 숏의 비중이 달라지면서 영화의 내러티브 성격이 변화되며 둘째, 배우의 연기효과는 부감 숏, 풀숏/롱숏에 의해 축소 혹은 약화될 수 있으나 촬영방식을 통해서 소멸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연기술의 관점에서 사례 영화에서 나타난 배우의 연기 스타일은 기존의 사실주의 연기술의 확장이라는 의의를 갖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스타니슬라브스키(Constantin Stanislavsky)와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의 메소드(Method) 이론에 부합하면서도 스타의 페르소나를 부각시키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그 인물처럼 보이는 배우 혹은 비직업 배우, 일반인들의 고유한 개성을 ‘인물창조’(characterization)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특히, 개성화(personification)와 자기화(personalization)를 통해서 사실주의 영화연기미학인 ‘인물-배우’의 융합 강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결국, 사례 영화들에서 배우들의 연기적 가장(假裝)이 보이지 않는 것은 이러한 사실적 연기의 효과로서 종국적으로 영화의 ‘사실효과(reality effect)’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 how ‘realistic film acting’ works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construction of ‘realistic effects’ in the Hong Sangsoo’s films,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1996) and The Power of Kangwon Province (1998). In order to do this, M. L. O’Brien’s ‘film acting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analyses in both aspects of actor’s acting and of camera shooting. The overall shots under study were grouped into two categories including ‘acting shots’ that is dominated by the actors’ and actresses’ acting and ‘geography shots’ that requires only the appearances of the actors and actresses rather than their acting for the sake of the overall film structure. Specifically, ‘acting effe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elected ‘acting shots’ by adopting the separate ‘acting’ of individual actors and actresses, and the ‘shooting effects’ ba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s by means of high angle shots, full/long shots, and long takes in the films. By doing s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hooting methods intervened in the actors’ and actresses’ acting, how they created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and what relations they made with the narrative.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as the acting shots changed in their import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s of the films also underwent changes. Second, the actors’ and actresses’ acting effects could be weakened by high angle shots and full/long shots but could not be eliminated by the shooting methods. In addition, the actors’ and actresses’ acting styles seen in the two films have the significance of the expansion of the existing acting skills. Unlike the existing method that is consistent with the theories on Stanislavsky’s method while highlighting the personas of the films heroes, this method actively employs the inherent personalities of the actors and actresses or non-professional actors and actresses who look like the very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the ‘characterization’ (i.e., the creation of the characters). In particular, the methods of the personification and personalization were seen to raise the intensity of the integration of characters and the actors and/or actresses leading to the creation of ‘the realistic film acting esthetics.’ Thus, the actors’ and actresses’ acting affectations were not to be found in the two films due to the result of this acting method,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constructing the realistic effects of the film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