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브랜드 인식이 재직자와 잠재 조직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태도 변수에 따른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fluence of Employment brand on employee attitudes : comparative study of current and potential employees
- 주제(키워드) 고용브랜드 , 고용주브랜드 , 조직몰입 , 입사의도 , 개인-직무 적합성 , Employment brand , Employer brand , Organizational Commitment , Pursuit Intention , Person-Job Fi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 지도교수 양동훈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영전문대학원 글로벌서비스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35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용브랜드 가치 인식이 재직자의 조직몰입과 잠재 조직원의 입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는 실증적 연구의 목적을 가진다. 기존의 고용브랜드 연구는 주로 개념적 측면을 주로 다뤄온 반면, 실증적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유능한 직원을 유치 및 유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주제로 떠오르고 있는 고용브랜드의 개념과 중요성을 고찰하며 직원 유치 및 유지 차원에서 고용브랜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 용브랜드의 성과 변수로서 조직몰입과 입사의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기존 연구문헌을 바탕으로 고용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재직자 및 잠재 조직원 태도에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 두 가지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서울 및 경기 소재 기업에 근무 중인 재직자 305명을 대상으로 고용브랜드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개인-직무적합성이 고용브랜드 인식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 2에서는 직장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재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용브랜드 인식이 입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3에서는 연구 1과 연구 2의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브랜드 인식에 대한 재직자와 잠재 조직원의 고용브랜드 인식 요인 구조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용브랜드 인식이 재직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용브랜드 인식 중 경력개발적 가치, 사회적 가치, 평판 가치는 재직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직무 적합성이 고용브랜드와 조직몰입 간에 가지는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개인-직무 적합성은 고용브랜드 인식 중 경제적 가치와 조직몰입 간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브랜드 인식이 잠재적 조직원의 입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용브랜드 인식 중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 윤리적 가치는 잠재조직원의 입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연구 1과 연구 2의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직자와 잠재 조직원의 응답자 특성에 따른 고용브랜드 인식에 대한 요인 구조의 차이를 규명한 결과, 재직자와 잠재 조직원의 고용브랜드 인식에 대한 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고용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재직자 및 잠재 조직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몰입과 입사의도라는 성과변수로 설정해 진행한 연구에서 재직자 및 잠재 조직원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용브랜드에 인식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먼저 학술적으로는 국내 고용브랜드 연구 중 국내 재직자와 잠재 조직원을 대상으로 한 고용브랜드 인식 가치 차원에 대한 첫 번째 실증 연구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재직자와 학생들간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용브랜드 인식이 다르며, 각각의 성과변수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규명한 데에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으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입직과 경력직에 대한 고용브랜드 가치제안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내부브랜딩과 고용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할 때 기반이 되는 직원가치제안(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more초록/요약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employment brand on employee attitudes from a sample of Korean current and potential employees. Traditionally, the concept of branding has been used in the marketing area, but it extends to the area of various area including Human Resource area with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an integrated brand strategy. Employment branding is strategy based on marketin g principles for attracting potential employees in terms of its competency and royalty. So far, traditional study on the employment sufficiently provides the conceptual aspects, but it suffers from the empirical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influence of employment bran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rrent employees and Pursuit Intention of potential employee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and two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for academical and practical analysis. In proving these questions, 305 current employees survey data for study 1 and 154 potential employees survey data for Study 2 were analyz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1.0. This research model consists of the variables from previous studies in the area of employment brand. With these employment brand variables, this research model assigns each independent variable as Economic value, Development value, Society value, Diversity value, Reputation value and Ethic value for Employment brand dimension, a dependent variable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ursuit Intention, and a moderating variable as person-job fit only for study 1. There are four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development value, society value and reputation value among employment branding dimension effect positivel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rrent employees. Second, person-job fit was found to be an moderator factor between economic value of employment brand recogni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is study proved that economic value, society value and ethic value among employment branding dimension have the positive impact on pursuit intention of potential employees. Last, this study also prov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factor structure between current and potential employees based on a factor analysis of Study 1 and Study 2. These results suggest not only theoretical, but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ore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mension of employment brand impact on current and potential employee attitude respectively. Also it enhances the study of Korean employment brand. For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guideine of EVP(Employee value proposition) for internal branding and employment branding.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that how to develop an insight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talented potential and current employees. In conclusion, the result above impli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