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수유형, 학습양식, 매체 동시성의 상호작용이 지식이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ing Style, Learning Style, Media Synchronicity on Knowledge Transfer

초록/요약

본 연구는 조직 내 지식수용자에게 다양한 지식을 이전할 때 성공적인 지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식수용자의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 효율적인 지식이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지식들을 지식수용자에게 이전할 때 지식수용자가 선호하는 학습양식과 교수유형 간의 상호 매칭에 따라 지식이전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지식이전 시 활용되는 매체의 특성인 동시성의 정도에 따라 지식이전에 다른 영향을 준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29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한 후 결측되거나 중심화 경향이 있는 36개 설문을 제외한 나머지 수거된 데이터 263개를 SPSS 18.0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모형은 교육학에서 이론적, 실증적으로 연구된 변수들을 검토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교수유형을 독립변수로써 설정하고, 지식수용자의 학습양식, 매체 동시성을 조절변수로, 지식이전을 종속변수로써 설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시된 가설을 검증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성공적인 지식이전을 하기 위해선 원리/원칙에 입각하여 단계별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전달하는 교수유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둘째, 조직 내 성공적 지식이전은 지식수용자가 선호하는 학습양식과 교수유형 간의 상호 적합한 매칭이 이루어져야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셋째, 조직 내 성공적 이직이전은 교수유형과 매체 동시성 간의 상호 적합한 매칭이 이루어져야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기존의 지식이전에 관한 연구에서 구조적, 관계적 요인이 주가 되어 이루어졌던 연구에서 교수유형, 학습양식과 같은 개인특성 요인 또한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한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조직 내 효과적인 지식이전을 위하여 어떠한 매체를 선택하여 활용해야 되는지와 교육 콘텐츠는 어떠한 형태, 구성,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식이전의 개인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 내 성공적인 지식이전을 위한 매체 활용 및 교육 콘텐츠 형태 및 구성, 구조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향후 연구 방향을 시사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factor of personal trait affects on knowledge transfer when it transfers various knowledge to receiver in a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which teaching style is more affective on knowledge transfer, and which teaching style is appropriate match with learning style and media synchronicity for knowledge transfer. In order to pro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used 263 survey data to analyze clustering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ith SPSS 18.0. This research model consists the variables from previous studies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based on these educational variables, this research model sets a independent variable as teaching style, moderator variables as learning style and media synchronicity, a dependent variable as knowledge transfer. There are thre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is study proved that the two special teaching styles which are deductive, verbal, sequential teaching style and concrete, visual, active, global teaching style are the more affective on knowledge transfer in a organiza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when teaching and learning style matches, it is more affective on knowledge transfer in a organization. Third, this study also proved that when teaching style is matched with appropriate media synchronicity, it is more affective on knowledge transfer in a organiz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oritical, practical implication like below: As a theori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riable of personal trait is a important factor as much as structural, relational factors in the research area of knowledge transfer. As a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e guideline of which media fits into transferring knowledge and how educational contents are consi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