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반 움직임 이론에 기반 한 애니메이션 생성기법 연구 : 무용기보법의 해석과 시각화 방법론을 중심으로
A Laban-Based Method for Generative Art Animations : focused on the Transcoding of Dance Notation and Methodology of Visualizing Movement
- 주제(키워드) 애니메이션 , 생성적 , 무용 , 추상 , 아트 , 컴퓨터 , 그래픽스 , 라반 움직임 분석 , 에포트-셰이프 , 공간조화론 , 라바노테이션 , 시각기호 , 트랜스코딩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 뉴미디어 퍼포먼스 , 철학적 고찰 , Animation , Generative , Dance , Abstraction , Arts , Computer , Graphics , Laban Movement Analysis , Effort-Shape , Choreutics , Labanotation , Visual Notation , Trans-coding , Non-Verbal Communication , New Media Performance , Philosophical Consider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욱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예술공학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34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움직임의 언어를 기반으로 움직임의 의미를 고찰하고 작품 제작을 위해 무용의 기보체계를 적용한 추상 애니메이션 생성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방식을 통해 예술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예술가의 임의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미리 규정된 규칙들에 근거하여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대표적으로 움직임이 지닌 의미와 창의적 재현에 관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무용분야를 다루며 20세기 가장 체계적이고 탁월한 무용이론가로 일컬어지는 루돌프 본 라반(Rudolf von Laban)을 소개한다. 라반은 범세계적인 움직임의 기호체계인 라바노테이션(Labanota tion)을 발전시켰고 이를 보충하기 위한 움직임 분석 이론(Laban Move ment Analysis)을 통해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행위 이외에도 심리적 요소와 같이 무형적인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움직임의 재현형식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또한 큐비즘 이후의 회화에서 나타난 다중적인 시공간의 표현을 기반으로 실제 시간매체를 활용하여 평면에 암시된 운동성을 움직임의 환영으로 표현했던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적 특징과 기법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운동성의 의미는 실재적이기보다는 추상적인 것으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추상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본 연구의 목표와 연결되었다.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중 하나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실제로 무엇을 소통하는가 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무용이나 회화에서처럼 시각적으로 심미적이고 독창적인 표현을 추구하는 예술의 영역에서는 예술가 개개인의 개성적인 몸짓과 조형언어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술가의 언어가 특정한 하나의 기호체계로 부호화되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무용의 기록인 라바노테이션의 가능성은 그것이 회화처럼 시각적이기도 하고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지만 여전히 음악처럼 고도로 발달된 표준적인 기보라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위해 먼저 라바노테이션을 기초로 움직임의 구성요소들을 구조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기하학과 수학의 체계를 따르지만 이와 차별화되는 공간에 관한 라반의 해석을 기초로 운동성 체계의 잠재적, 미학적 관점을 함께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라반의 에포트-셰이프(Effort-Shape)이론을 참고하여 운동성에 내재된 감수성과 뉘앙스를 공학적 변수들(Parameters)을 통해 가시화(可視化)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기계적 움직임을 표현적인 것으로 심화시킬 수 있었고 작품제작에 활용된 알고리즘은 향후 예술작품 창작의 도구로 확장되어 뉴미디어 퍼포먼스 및 무용 공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re초록/요약
For non-verbal communication as one of human communication methods, how to communicat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actually done. It is tru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arts such as dance or paintings where we pursue the visually aesthetic and creative expression, and most communications are made through individual artists’ unique gestures and distinctive visual languages. Thus, in the arts creation, it is an inevitable process for the artists to explore new tools and to establish his/her own language firmly through them.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movements is investigated via its language and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approach by utilizing a dance notation system in the production process. This allows the new ways to produce computer animation based on objectively pre-defined rules, not by relying solely on the arbitrary discretion of the artist in the creation of works of art. Historical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vant-garde film has represented a suggested notion of movements in the flat painting surface of spatiotemporal expression in the Cubism derivatives by utilizing the actual time ?based media. The meaning of mobility in these paintings and films was abstract rather than realistic, thus they could be easily connected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or producing abstract animation in computers. In addition, I wish to convince that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common three-dimensional computer animation researches which is focused on the techniques of realistic reproduction. The dance is the field where voluminous researches are conducted on the creative representation and the meaning of movements. Among them, Rudolf von Laban is referred as the most organized and excellent dance theorist in the 20th century. Laban developed Labanotation, a global movement notation systems and Laban Movement Analysis(LMA) for further studies. LMA is not merely focused on forms and meanings of movemets for direct communication, instead, it investigates variety of movements including intangible and psychological factors. Laban considered the changes in movements are not only due to the specific objective of movements rather to th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inner impulse. This approach provides a universal and extensible theoretical basis in the various areas of disciplines, as well as dance when a theory of movements is applied. This study found that the structural notation system became a basic framework in design of a path to the movements. The Laban Analysis of the space, the space harmony(Choreutics), is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of mathematics and geometry but differentiated by certain factors. Thus, I tried to introduce the potenti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by following his notion on the space. In addition, by adapting Effort?Shape theory which refers to the sensitivity and nuances inherent in the movements, these elements can be visualized by the computerized parameters and the mechanical movements can be improved as more expressive ones. The algorithm used in this work implements Rotation Transformation and gradual translation by Polar Coordinate conversion. However, it does not aim to the automated generative system, rather it is a tool to design specific and unique movements, which many artists can engage directly in controlling numerical data to make their own wor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algorithm developed here can be extended to be artists’ tool for future creative work and can be utilized for new media performances and dance performan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