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관한 실증연구 : 인턴참여자의 임금결정 및 정규직 전환 영향요인 분석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Intern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wage contract of the internship participants and their transition to full-time jobs
- 주제(키워드) 청년실업 , 청년고용정책 ,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 임금결정 , 정규직 전환 , 보조금 , 직종 일치 , Intern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wage contract , transition , full- time jobs , youth employment poli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 지도교수 남성일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경제대학원 노동경제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34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정부의 대표적 청년고용정책인 중소기업 청년취업 인턴제를 실증분석 한 결과물이다. 다시 말해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참여자의 임금결정과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하고,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정책적 함의로 제시한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의 협조를 얻어 2012, 2013년도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에 참여한 청년 중 6,000명(전체 참여자 9% 수준)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다중회귀분석의 로그-선형모형과 프로빗(probit)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임금결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참여자의 연령, 학력은 임금결정에 일관되게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성별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인 및 구직의 직종 일치여부는 영향이 없었는데, 이는 인턴 실시기업이 임금 결정과정에서 참여자의 전공 또는 전공과 담당업무의 일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사업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임금결정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기업규모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시기업의 업종이나 직종은 임금결정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소매업 및 운수업은 전통적 업종으로 기존에 축적된 임금 수준의 영향으로, 그리고 전기전자·정보통신 직종은 청년층이 선호하고 인력수요가 많은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끝으로 수도권 소재 기업이 비수도권 소재 기업 보다 임금 수준이 높게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은 정규직 전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참여자의 연령과 성별은 정규직 전환에 영향이 적은 반면, 학력은 양(+)의 효과가 있어 고등학교 졸업자 보다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의 정규직 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실시기업의 업종과 정규직 전환은 관련이 없었다. 셋째,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비례하여 정규직 전환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대기업 선호현상 또는 대기업은 아닐지라도 가능하면 큰 규모의 기업에 취업하기를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넷째, 참여자의 희망직종과 구인기업의 구인직종이 일치할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전환율이 일관되게 17∼18% 가량 높았는데, 섬세한 고용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보조금도 일관되게 정규직 전환에 양(+)의 영향을 미쳤는데, 중소기업 청년인턴제가 실시기업에게 직원 채용의 선별기능을 제공하고, 참여자에게는 일자리 탐색비용을 낮추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임금이 높을수록 정규직 전환이 잘 된다는 사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임금이 여전히 취업에 있어 주요 판단기준이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끝으로 문화예술 디자인방송 및 전기전자 정보통신관련 직종은 전문기술을 요하고 장래 발전가능성에 대한 기대로 청년층이 선호하고 인력수요가 많아 다른 직종보다 정규직 전환이 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정규직 전환에 있어 일관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시기업의 규모, 구인 및 구직 직종의 일치, 보조금, 임금 그리고 전기전자 등 특정 직종’으로, 향후 청년고용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서 반드시 고려할 요소라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가 示唆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고용지원서비스 강화가 필요하다. 청년과 기업에 관한 풍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기초한 구체적이고 정밀한 일자리 연결은 청년고용정책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소기업의 임금, 복지수준 및 근로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생산성 향상, 이윤극대화 그리고 보상 강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중소기업의 결단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보조금 확대는 신중히 하여야 한다. 비록 보조금이 정규직 전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중손실이 발생하고 비용대비 효과가 낮은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앞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하여 참여자의 정규직 전환 후 고용 유지기간, 임금인상 여부 및 인상 정도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참여자가 임금, 복지수준 등 근로조건이 더 나은 사업장으로 이직을 했는지, 이직에 소요된 기간은 어느 정도였는지 등을 일괄적으로 연구한다면 청년실업과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보다 실질적인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age contract of the Intern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policy for youth employment in Korea, and the participants' transition to full-time jobs. Then it proposes the application of meaningful factors to th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This study obtained sample data by extracting random sample population of 6,000 persons, the 9 percent of total unemployed youth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n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2012 and 2013. The estimation is based on the log-linear model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bit model. First of all,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wage contract. (1)Age and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were consistently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age contract while the gender was not. (2)It did not matter whether the participants’ majors matched the occupational categories or not. This shows that the participating enterprises did not consider such factor when determining the wage for the participants. (3)Unlike the prior expectation, the size of workplaces was an irrelevant factor in the wage contract. (4)The industry sectors of enterprises participated or occupational categories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wage contract. Especially, wholesale and retail, and transportation industry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probably due to previously accumulated level of wage. In electronics and IT industry, which are preferred among youth and in higher labor demand, a similarly positive effect on wage level was found. (5)Lastly, the enterprise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orrelated with higher wage level than elsewhere. Next i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ition to full-time jobs. (1)While age and gender of the participants had little effect on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level of academic background seemed to matter as those with associate degrees or more enjoyed a higher transition rate than high school graduates. (2)The industry sectors of enterprises participated were statistically meaningless as they were out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3)The size of enterprises seem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This shows that the youth prefer to work in as large enterprises as possible, if not major conglomerates. (4)When the participants’ preferred jobs matched the types of jobs the enterprises, the transition rate was consistently 17 to 18 percent higher than when they did not; this emphasizes a need for delicat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5)Government subsidies were consistently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This implies that the Internship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emed to function as a screening tool for the participating enterprises and to reduce search costs for the participants. (6)That the higher wage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shows that the wage level still is a main criterion for choosing jobs. (7)Lastly, the jobs requiring specialized skills, such as those in culture and arts, design and broadcasting, and electronics and IT industries were recorded with the higher transition rate because such occupations are in high labor demand and are preferred by the youth in anticipation of future possibilities. In conclusion, the factors that consistently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are the size of the enterprises participated, government subsidies, wage level, the degree of job matching, and promising jobs like aforementioned examples; these must be considered for future youth employmen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the part of government need to be strengthened. With ample data on youth and enterprises accumulated, precise and detailed job matching would improve performance of the youth employment policy. Second, betterment of wage level, welfare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urgently needed. The managers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ave to carry out the plans that help enhance their employees’ productivity and maximize profit. Third, expanding government subsidies should be done carefully. Even if the subsidies had positive effects on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they need an improvement as there were deadweight loss and low cost-effectiveness. A future study later on would need to look at the internship participants’ years of employment after the transition into full-time jobs and the level of their pay rise, if an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