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선의 희곡에 나타난 현대사회와 소외 : <G코드의 탈출>, <파티>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Society and The Alienation in Yoon Young-seon's Drama : Focused on <Escape of G-code>, <Party>
- 주제(키워드) 윤영선 , 자본주의 사회 , 에리히 프롬 , 인간소외유형 , 염세주의 , Yoon , Young-seon , Capitalistic Society , Erich Fromm , Human Alienation Type , Pessim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용수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연극/영화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32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기존연구사에서 윤영선이 “자신의 내면을 탐사하거나 자기 자신을 관찰하는 것”을 주제로 삼았다는 것에 문제제기를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윤영선의 작품에서 단순히 남녀 사랑이나 가족을 이탈한 남자의 방황 또는 마을에 전입해 온 가족의 환영파티에서 벌어지는 해프닝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즉 현대인의 삶을 통해 현대인의 소외현상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분석에 있어서 프롬(Fromm)의 인간소외를 개념툴로 하여 <G코드의 탈출>과 <파티> 두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하였다. 인간의 소외유형은 작중 인물의 자아상실에서 오는 자기로부터 소외, 인물들간 서로 소원한 관계에서 오는 타인으로부터 소외, 인물이 부적응할 수밖에 없는 것에서 오는 사회로부터 소외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소외유형은 그 원인과 과정을 밝힘으로써 당대 사회를 바라보는 작가적 관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때 인물들의 언어행동과 심리적·행동적 반응관계에서의 감정의 흐름과 의미작용 등을 짚어봄으로써 소외과정을 파악할 것이다. 이것은 윤영선이 바라보는 세상을 이해하고 나아가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분석툴이 될 것이다. 작가가 제시하는 현대인의 삶을 당대 사회현실에 비춰 어떤 의미를 갖는지 조망해볼 것이다. 분석결과 Ⅲ장 1절 ‘자기로부터 소외’는 인간이 자신을 상품가치화 함으로써 자아를 상실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작중 인물의 자아상실에 의한 소외양상을 살펴본 결과, 윤영선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을 통해 사회 구조적 문제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절 ‘타인으로부터 소외’는 인간이 인간을 이용하고 타자를 교환가치로 대하는 관계에서 서로 소원한 관계에 이르는 것으로 이해하고, 인물들간의 비정상적인 관계에서 오는 소외양상을 살펴본 결과, 윤영선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고독해질 수밖에 없는 인간존재에 주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절 ‘사회로부터 소외’는 인간이 가치중심 사회에서 그 가치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고립감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작중인물에게 부적응을 유발하는 소외양상을 살펴본 결과, 윤영선은 현대인의 죽음에 이를만한 고통스러운 삶에 주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윤영선은 이 모든 원인을 비인간화에 두고 이러한 세상에 대한 작가의 염세주의적 작가관을 연극적 언어로 드러내고자 천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염세적 관점은 내적 외적 곤경에 처한 인간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시선에서부터 시작된 것임을 간과할 수 없다. 그가 문제시한 인물들은 남녀간 관계나 가족간의 관계, 마을사람들과의 갈등을 보여주고 있지만 당대의 사회적·경제적 상황과 결코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는 알레고리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의견을 달리하고 윤영선 작품의 의미를 역사화해서 해석함으로써 본 논문의 의의를 갖는다하겠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made its start by raising a problem in that Yoon Young-seon took a theme 'to explore his own inside or observe himself’ in the previous history of research. In Yoon Young-seon's works, we saw that they didn't simply show the love of a man and a woman, the wandering of a man who walked away from his family or the happening occurring in a welcome party of a family transferring in the village. That is to say, we considered that he paid an attention to the moderner's alienation phenomenon through modern people's life. In the analysis, we took Fromm's human alienation as a concept tool and divided characters appearing in two works <Escape of G-code> and <Party> largely into three categories in our analysis. We classified man's alienation types as the alienation from self coming from loss of identity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e alienation from others coming from a mutual strange relation between characters, and the alienation coming from society where a character cannot help being maladjusted to it. We saw that if we clarify the cause and process of these alienation types, we can understand the writer's viewpoint toward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time we'll be able to figure out alien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emotional flow and meaning action characters' language behavior and psychological·behavioral reaction relation. This will be a useful analysis tool in understanding the world Yoon, Young-seon beholds and further grasping the meaning of the works. And we'll prospect what kind of meaning modern people's life the writer presents has in view of contemporary society reality. As the result of analysis, we understood that ‘Self-Alienation’ of Chapter III Paragraph 1 means that man makes himself commodity value and loses self, and as the result of the review the alienation aspect by self-loss of the character of the works, we could know that Yoon, Young-seon suggest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the life of modern people who live in a capitalistic society. ‘The Alienation from Others’ of Paragraph 2 is understood as man reaches an alien relation in the relation where man makes use of man and regards others as exchange value, and as the result of the review of alienation aspect coming from a abnormal relation between characters, Yoon, Young-seon takes a note of human existence who cannot but to be solitary in the life of capitalism society. ‘The Alienation from Society’ of Paragraph 3 means that man feels loneliness as man fails to get the values in value-centered society, and as the result of alienation aspect triggering maladjustment in the characters of the works, it could be known that Yoon, Young-seon paid attention to modern people's painful life close to death. It could be understood that Yoon, Young-seon attributed all this cause to dehumanization and inquired to disclose the writer's pessimistic writer viewpoint over this world with a dramatic language. and we cannot overlook that the pessimistic viewpoint starts from the vision to behold human be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difficulty. The characters of his issues shows the relation between men and women, re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conflict with village people but there is an allegory where we cannot be separated from social·economic situations of the times. In this respect, this thesis has the opinion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Yoon, Young-seon's works historically, where we hav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