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집단 토크쇼의 재현 연구 : JTBC <비정상회담>과 KBS <미녀들의 수다>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foreigner in a variety talk show : a comparative analysis of JTBC ‘Nonsummit’ and KBS ‘Beauties’s Chattbox (Misuda)’
- 주제(키워드) 외국인 재현 , 다문화 , 인종 , 젠더 , 토크 쇼 , 미디어 , 텍스트 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방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31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한국 사회는 외국인 거주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급격한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2014년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거주자의 수가 150만 명을 넘는 등 한국 사회는 외형상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외국인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외국인을 실제 생활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텔레비전 같은 미디어를 통한 간접 경험을 통해서 외국인에 대한 이미지와 정보를 얻게 된다. 따라서 미디어가 어떻게 외국인의 정체성을 규정하는가의 문제는 다문화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는 갈수록 인기를 얻고 있는 외국인 집단 토크 쇼에서 외국인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JTBC <비정상회담>과 KBS <미녀들의 수다>를 대상으로 텍스트를 분석했다. 지난해 2014년 7월부터 방영되고 있는 <비정상회담>은 12명의 외국인 남성게스트가 전 세계 청년들의 고민을 토론하는 토크 쇼로 글로벌한 정보와 웃음을 주고 있다. 한편 2006년에 첫 방송되었던 글로벌 토크쇼 <미녀들의 수다>는 16명의 재능이 넘치는 외국인 여성게스트가 출연하여 숱한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본 연구는 외국인 집단 토크 쇼에 출연한 외국인의 재현 방식과 다문화 현실과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포맷, 출연자, 주제, 발화양식, 발화횟수, 미장센 측면에서 텍스트를 분석했다. 또한 주류미디어인 신문이 두 토크쇼에 관련하여 어떠한 다문화 담론을 생성하는지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텍스트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집단 토크쇼에 등장하는 외국인은 특정 인종과 젠더에 편향적으로 재현되고 있었다. 두 프로그램 등장하는 출연자의 발화 횟수와 출연자의 인적 구성 측면에서 서구 출신 출연진이 과다 재현되고 있었다. 또한 서구는 우월한 존재로, 동남아시아 등 제3세계 출신은 열등한 존재로 묘사되는 이중적인 잣대가 적용됨을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정상회담>에서는 오직 남성 게스트만 정상회담 대표로 호명됨으로써 남성만이 토크 쇼라는 공론장에 참석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이는 남성성이 여성성보다 우월한 젠더라는 성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미녀들의 수다>에서는 외국인 여성은 한국의 개인적 경험을 공유하는 게스트보다는 섹슈얼리티의 상징으로 부각되고 있었다. 성에 관련된 과도한 주제빈도와 노출이 심한 의상, 관음적인 카메라 앵글 등의 미장센 요소는 대중문화 텍스트에 내재된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를 표방한 이 프로그램이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섹슈얼리티에 의존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신문기사가 생산하는 다문화 담론은 20~30대 소비 취향에 부응한 방송사의 상업적 전략에 대한 호평에 머물고, 예능프로그램에 외국인이 집단으로 출현하게 된 다문화 현실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와 그 재현 방식에 대한 냉철한 비평으로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외국인 집단 토크쇼라는 대중문화물이 소비되는 맥락과 주류미디어가 보여주었던 관습적 재현방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등 토크 쇼에 나타나는 외국인 재현 방식에 대한 세밀한 조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10년이라는 시차와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이라는 플랫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집단 토크쇼가 인종과 더불어 젠더 차별적인 시각으로 외국인을 재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문화적 텍스트가 여전히 남성의 소비물로 생산되고 소비됨으로써 성차에 의한 불평등한 권력관계가 토크쇼라는 장르를 통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e Korean Society is going through a huge change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with the huge influx of the foreigners. Since the number of the foreigner living in the Korea amounted to more than 1.5 million as of 2014, it seems that Korea has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espite of the steady overflow of foreigners, it is not common to interact with foreigner in person in a daily life. It is through a medium like a television that we get to form a certain image and knowledge on the foreigners. So it is very important how to describe the image of an foreigner in the program since the viewer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heavily depends on the television text in which the identity of the foreigner is defined. With a growing popularity of foreigners showing in a variety talk show,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n foreigner is being represented in such talk shows as JTBC ‘Nonsummit’ and KBS2 ‘Beauties’s Chattbox’ (Misuda). Aired for the first time July last year, 'Nonsummit' is gaining the popularity amongst young people. The program with a total of 12 male foreign guests each representing 12 different countries grabs an attention because of its global flavor and showy guests. And first appeared in 2006, ‘Beauties’s Chattbox’ consisting of 16 female talk guests, had been applauded as a fresh talk show format with talented lady guests. This article looks into two talk shows with two main questions : 1) How differently do these two talk shows deal with the following multi-cultural factors in the program : program format, subject of talk, character, mode of speech, number of speech, mis-en-scene, 2) what kind of multi-cultural discourse do newspapers produce in regard to these two talk shows. The textual analysis is as follows : 1)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ers in the talk show is still race-and gender-biased as the television text prefers the White to the non-White by over-representing the White in terms of nationality, speech and other factors. And the textual analysis also found that the foreigner of European and American nationality is descried as superior individual, but the immigrant from 3rd countries like Southeastern countries is as inferior one. This double standard toward a race has been criticized in other media representations. In the ‘Nonsummit’, only male is interpellated as a talk guest, indicating that only male gender is entitled to attend the public sphere like a talk show. This differentiation in gender solidify an ideology that the male is a superior gender than the female. In case of ‘Beauties’s Chattbox’ unmarried women is depicted as a symbol of sexuality, rather than a foreign guest invited to share their cultural experience here in Korea. The sex-related topics, skimpy dress, voyeuristic camera angle in the me-sen-scene are all indicative of male centric viewpoint in terms of production. In conclusion, the global talk show that openly claims to enhance the multi-culturalism is nothing but a entertainment program, heavily depending on the sexual traits of the foreign lady in order to boost the program rating.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 media discourse by most newspaper only shows an excessive interest in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Nonsummit’, but fails to shed a light on why talk shows with multiple foreign guests become a popular program format and how they are represented in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ety. To our disappointment, there seems no critical insight on a social context in which talks show is consumed as a popular cultural text and the conventional way that the foreigners are being represented in the mainstream media. Abou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Beauties’s Chattbox' was first aired on KBS, and now 'Nonsummit' is being aired on JTBC, one of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Despite of its time passage and channel disparity, these variety talk show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foreigner in the program is being represented in a gender-biased manner. It is of any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elevision text is still produced and consumed from a mens's point of view and that an inequal hierarchy based on different role of sex keeps on being reproduced through a popular medium like televi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