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성인의 독서와 도서 구매에 관한 연구 : 독서 태도, 독서 및 도서 구매 동기를 중심으로

Study on Reading and Book Purchase of the Korean Adults: Focusing on the Reading Attitude, the Motivation of Reading and Book Purchase

초록/요약

이 논문은 도서 구매량과 독서량을 중심으로 한국 성인 독자의 유형을 분류하여, 이들의 독서 태도, 독서 동기, 도서 구매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자 유형은 다구매-다독자, 다구매-소독자, 소구매-다독자, 소구매-소독자로 나누었으며, 독서 태도, 독서 동기, 도서 구매 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독서 태도는 인지, 정서, 행동 요인으로 나누었으며, 다구매-다독자는 모든 요인에서 가장 긍정적인 독서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독서 태도 중 인지 요인은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점수 차이가 적었으며, 행동 요인은 유형별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많은 독자들이 독서를 긍정적으로 인지하고는 있지만, 평상시 독서 행동이 뒤따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독서 동기는 사회적 유용성 동기, 여가 휴식 동기, 시간 보내기 동기, 학습 동기로 나뉘었으며, 이 가운데 여가 휴식 동기와 시간 보내기 동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소구매-다독자와 다구매-다독자가 높은 점수를 보여, 즐거움을 위해 독서를 하는 사람은 독서량이 많다는 기존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도서 구매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도서 구매 동기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토대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적 압력에 의해 도서를 구매하는 사람보다, 취향이나 호기심 등 내적 요인으로 인해 도서를 구매하는 사람이 도서 구매량과 독서량이 많았다. 이 논문은 한국 성인의 독서 태도와 독서 동기, 도서 구매 동기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국 출판 산업과 독서 문화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heck if there are differences in reading attitude, the motivation of reading and book purchas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Korean adult readers focusing on purchase quantity of books and the amount of reading. The types of reader have been classified as heavy purchase-heavy reader, heavy purchase-light reader, light purchase-heavy reader and light purchase-light reader an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reading attitude, motivation of reading and book purchase. Reading attitude has been classified a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and heavy purchase-heavy reader have the most positive reading attitude. There was the highest score and minor gap for the cognitive factor among the factors of reading attitude and there was the biggest gap among the scores per type for behavior factor. Although many readers recognize reading positively,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reading behavior was not followed usually. The reading motivation has been classified as motivations of social benefit, leisure, pass-time and study.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motivations for leisure and pass-time. There were the highest scores in light purchase-heavy reader and heavy purchase-heavy reader, implying the results that persons reading books for pleasure show high amount of reading in the existing researches. However, it was not related to the amount of book purchase. The motivation of book purchase has been measured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s a result of study, the persons purchasing books in accordance with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taste or curiosity showed bigger purchase quantity of books and higher amount of reading than people purchasing books in accordance with extrinsic motiv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reading attitude, motivation of reading and book purchase,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Korean publication industry and reading culture are suggested in this pap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