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소설과 규율의 수사학적 양상 연구 : 1960-7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al Aspects of Military Novels and Discipline
- 주제(키워드) 군대소설 , 규율 , 군사적 담론 , 1960년 , 1970년 , 거리 , 수사학 , 이청준 , 송영 , 서정인 , 담론 , 권력 , 대응담론 , Military Novels , Discipline , militarism , 1960s , 1970s , distance , Rhetoric , Lee Cheong-jun , Song Yeong , Seo Jeong-in , discourse , power , counter discours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우찬제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9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는 1960-70년대에 창작된 군대소설과 규율의 수사학적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군대소설이라 함은 군대가 갖는 특수성을 작품의 문제의식으로 형상화한 소설을 일컫는데, 이러한 군대소설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규율(discipline)'의 문제이다. 푸코는 국가 간의 경쟁 양상이 국가 내부의 통제로 변화한 것과 근대적인 군대의 발생을 함께 논의하면서, 개인의 신체를 통제하는 방법으로 규율이 강화되어 왔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규율의 문제는 1960~70년대 한국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군사주의 및 산업화와 관련되기도 한다. 이것들은 모두 시간의 체계화 및 공간의 분할에 따른 복종하는 인간의 생산을 위해 규율을 강조해왔기 때문이다. 군대소설에서는 군사주의의 강화와 작가들의 군 체험 등이 맞물리면서 규율의 문제가 보다 심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담론의 차원에서 군대소설은 군사주의 및 규율과 많은 연관성을 갖는다. 푸코는 담론을 권력의 도구이자 그것에 저항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담론의 한 방식으로서 문학과 군대소설은 당대의 지배적 담론인 군사주의에 종속된 담론인 동시에 대항하는 담론으로서의 역할을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본고에서는 지배적 담론에 대한 대응방식으로 작가들의 작품에 고유한 거리가 생성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분석했다. 본고에서는 거리의 문제를 서술에서 서술자의 ‘드러남’과 ‘숨음’, 혹은 ‘강화’와 ‘약화’를 살펴봄으로써 논의했다. 이를 통해 서술자와 서술 대상 사이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술 대상과 피서술자 사이의 거리까지 이해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거리의 문제를 개별 작가들의 문학성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 삼았다. Ⅱ장에서는 군대소설에서 나타나는 규율의 수사학적 양상을 논의했다. 1절에서는 다양한 통제의 기술을 통해 개인을 억압하는 규율의 양상에 주목했는데, 이를 각각 공간과 시간, 가시성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규율은 공간과 그에 속한 인물들을 끊임없이 분할하는 방식으로 그들을 위계화시킨다. 이로 인해 개인들은 동질화되며, 규율이 가하는 위협 속에서 스스로를 사형수로 인식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시간을 사용하지 않고 완전히 소모시켜 버리는 규율의 특징은, 인물들에게 시간의 비가역성을 깨닫게 하며 회복의 불가능성을 자각하게 한다. 이러한 인물들에게 가해진 폭력과 그것의 가해자는 비가시적인 특성을 띄는데, 이로 인해 인물들은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두가 공범이 되어가는 양상을 보인다. 2절에서는 군대소설에 나타나는 종속적 서술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군대소설에서 당대의 지배적 담론인 군사적 담론과 규율에 영향이 나타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대치(代置)의 서술은 군대소설의 문제의식을 비현실화 하는 양상을 보이며, 군대소설에서 나타나는 성 담론은 여성성을 타자화 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군사적 담론이 남성성을 부각하기 위해 현실에서 수행했던 작업과 유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문학담론은 지배적 담론에 종속되기도 하며 그것을 거부하기도 한다. Ⅲ장에서는 군대소설이 군사적 담론과 규율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문학성을 형성해내고 있는지를 논의했다. 1절에서는 이청준, 송영, 서정인 세 작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규율에 대한 문제의식과 이에 대응하는 인물들의 태도를 논의했다. 또한 2절에서는 각 작가의 서술방식을 거리의 문제로 수렴하여, 그것을 규율에 대응하는 수사적 전략으로 이해했다. 이청준의 인물들은 규율에 의해 가해지는 익명적인 폭력 안에서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는 이를 ‘모순’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술하는데, 서술자의 신뢰성을 낮추는 이러한 서술방식은 피서술자에게 서술자와 주인물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환기시킨다. 그런데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인 주인물에 대한 양가적 태도는 비판의 대상을 다각화시킨다. 누구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은 스스로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되며, 결국 모순의 서술을 통한 자기 비판은 작품에서 반성적 거리를 만들어낸다. 송영의 군대소설 속 인물들은 대부분 규율에 항명하는 인물들로 나타난다. 군대와 감옥에 위치한 인물들은 공간에 대해 민감한 특성을 지녔는데, 이러한 인물들이 규율에 의해 좌절당하는 모습은 오히려 규율의 문제를 부각시키는 양상을 보인다. 송영은 이러한 문제들을 ‘연루’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서술자에게 등장인물의 색채가 부여됨에 따라 서술자의 목소리는 약화되는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서술 대상에 대한 피서술자의 거리는 줄어들며 공감이 부각된다. 서정인의 군대소설에서는 규율의 통제로부터 이탈하려는 인물들의 양상이 나타난다. 서정인은 이를 '반복적 서술'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이는 의미의 전달을 지연시키지만, 결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화시킨다. 이를 통해 파악되는 것은 규율에 의해 감시당하는 인물들의 고통이며, 그것에서 이탈하고자 하는 인물들의 고난이다. 서정인의 서술전략은 피서술자로 하여금 거리두기와 함께 비판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논의는 결국 다음과 같은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지배담론에 종속된 주체인 개별작가들은 수사적 전략을 통해 지배담론에 대항 또는 대응하고자 하며, 이 과정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서술효과는 독자에게 대응담론을 포함한 재생산된 담론을 제공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군대소설은 단순히 군사적 담론과 규율에 종속된 대상이 아니라, 그 담론에 대응하고 경고하는 역할을 1960-70년대에 수행했던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hetorical aspects of military novels and discipline created in the 1960s and 1970s. Here, military novels refer to novels that embody the uniqueness of the military in their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one of the universal topics in military novels is "discipline." Discussing the creation of modern military along with the shift from the competing patterns of nations to the internal control of nations, Foucault argued that discipline had been reinforced in a method of controlling individual bodies. Such an issue of discipline also had something to do with militarism and industrialization, which were the dominant ideologies of South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They all put an emphasis on discipline to produce human beings that would be obedient accord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time and division of space. In military novels, the issue of discipline was further intensified in line with the strengthening of militarism and the military experiences of authors. Military novels had a lot of connections with militarism and discipline in the aspect of discourse, as well. Foucault maintained that discourse should be a tool of power and a starting point to resist power. It is understood from that perspective that literature and military novels as a means of discourse seem to play the roles of discourse that belongs to the military discourse of the times and also those of discourse that goes against it simultaneously. The present study especially judged that writers created their unique distances in their works as a way to resist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n analyzed them. The study discussed the issue of distance by examining the "revealed" and "hidden" aspects of the narrator or "strengthening" and "weakening" aspects in the descriptions, thus estim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object of narration and fur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of narration and the narratee. The study took such an issue of distance as a way to understand the literariness of individual authors. Chapter II first discussed the rhetorical aspects of discipline in military novels. Section 1 paid attention to the aspects of discipline to repress individuals through a variety of controlling techniques, discussing each of them with a focus on space, time, and visibility. Discipline hierarchizes spaces and their figures through continuous division, which leads individuals to homogeneization and makes them perceive themselves as death-row convicts under the threat of discipline. The characteristic of discipline, which completely exhausts time rather than making use of it, opens their eyes to the irreversibility of time and the realization of impossibility of recovery. The violence imposed upon those figures and the assailant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visibility, which explains why the figures cannot distinguish assailants from victims and all become accomplices. Section 2 examined the patterns of subordinate narration in military novel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times would influence military discourse and discipline in military novels. The description of replacement tends to mak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unreal, and the sex discourse tends to otherize femininity in military novels. It is similar to the work carried out in reality by the military discourse to highlight masculinity. Literary discourse is subordinate or refuses the dominant discourse. Chapter III discussed the literariness created by military novels to deal with the military discourse and discipline. Section 1 discussed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discipline in the works of Lee Cheong-jun, Song Yeong, and Seo Jeong-in and the attitudes of characters in reaction to it. Section 2 found that their description styles converged on the issue of distance and understood it as a rhetorical strategy to deal with discipline. Lee's characters tend to be voluntarily subordinate to anonymous violence committed by discipline. He narrated it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contradiction." That kind of description style, which lowers the reliability of the narrator, arouses the critical perception of the narrator to the narratee. Presented as the narrator, the main characters are victims and assailants, at the same time, in the military.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characters and events diversifies the objects of criticism. A perspective that anyone can be an assailant expands to self-criticism. In the end, self-criticism through the description of contradiction creates a reflective distance in his works. In Song's military novels, the characters mostly disobey discipline. Put in the military and prison, they are sensitive to space. When they get frustrated with discipline, it further highlights the issue of discipline. The author narrated those issues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 of "involvement." As the colors of characters are applied to the narrator, his voice weakens.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of narration and the narratee relatively narrows down, which highlights the sympathy. In Seo's military novels, there is a pattern of characters trying to break away from discipline. The author expresses it through "repetitive narrations". His approach postpones the delivery of meanings but eventually reinforces the meanings that he intends to delivery. Figured out in the process are the pain of characters being watched by discipline and the hardship of the characters trying to escape it. Seo's narrative strategy allows the narratee to do criticisms as well as distancing. Those discussions ultimately lead to the following explanations: individual writers, who are the subjects subordinate to the dominant discourse, attempt to resist or react to the dominant discourse through rhetorical strategies. Generated by that process, the narrative effects provide the readers with the reproduced discourse containing the counter discourse. In that sense, military novels were not merely subordinate to the discourse of militarism and the discipline but performed the roles of reacting to and warning against the discourse in the 1960s and 1970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