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들의 자서전적 기억을 통한 심리사회적 발달 : 서술적 정체성과 적응
Psychosocial Development in Adulthood through autobiographical memories : Narrative Identity and Adjustment
- 주제(키워드) 의미부여 ,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서술적 정체성 , 자서전적 기억 , 성인모색기 , 중년기 , 성인 발달 , meaning-making , psychosocial development , narrative identity , autobiographical memory , emerging adulthood , mid-life developm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근영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8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성인모색기부터 중년기까지의 자아 발달과 삶 이야기를 고전적인 에릭슨의 발달 이론과 최근의 서술적 정체성 연구의 틀을 함께 적용시켜 탐색해보려는 시도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서전적 기억을 통한 Erikson의 발달 단계 이론의 타당성과 개인의 연령에 따라 안녕감(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의미부여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두 번의 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했다. 연구 1에서는 서술적 정체성에 드러난 한국인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와 의미부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령대 별로 의미부여의 수준 및 의미부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그리고 인생의 전환점 경험의 주제를 분석하여 당시 연령과 주제가 Erikson의 발달 단계 이론과 일치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어서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발견한 내용을 바탕으로 낮은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을 보이는 성인들이 해당하는 과거 경험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높은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을 지닌 사람들보다 낮은 안녕감(hedonic well-being, eudaimonic well-being)을 극복할 수 있는지 삶 이야기를 통해 검증했다. 연구 1에서 1813명의 성인들에게 온라인 설문 연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어린 성인들의 의미부여 수준이 나이가 많은 성인들보다 통찰에 가까웠으며, 나이가 많은 성인들이 주관적 안녕감 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20대부터 50대까지의 의미부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비교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어서 참가자들의 인생의 전환점 사건의 연령과 주제를 차이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Erikson의 발달 이론을 지지했다. 연구 2에서는 429명의 대학생 및 성인들에게 설문지 연구를 실시했다. 의미부여 변인은 주관적 안녕감 보다는 심리적 안녕감(eudaimonic well-being)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었으며, 심리사회적 발달 과제의 해결 수준은 두 가지 안녕감을 모두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사회적 발달 수준과 두 가지 안녕감 사이를 중재하는 의미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미부여의 조절효과는 모든 집단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의미부여의 심리적 완충 역할은 발견할 수 없었다. 위 연구 결과들은 각 심리사회적 발달 과제의 특징과 의미부여와의 연관성 및 현대 한국사회에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미치는 사회적 맥락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more초록/요약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ego-development and the life-story in adulthood applied to the classical Erikson’s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narrative identity as one of the latest frameworks for developmental studies. Specifically,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process through autobiographical memories and the role of meaning-making for well-being depending on age. First of all, in study 1, the researcher looked into Korea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s and traits of meaning-making represented by the narrative identity. Particularly, the sophistication of meaning-mak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making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were compared in terms of age.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and corresponded to themes and ages in events of the turning point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in their lives. For the second, on the foundation of study 1, study 2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a group with the lower level of psychosocial developmental tasks could overcome lower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giving meanings into their past developmental experiences. In study 1, the questionnaire from 1,813 emerging adults and ad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meaning-making in the younger group was closer to insight than in the older group,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older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younger group. Even though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 association between the meaning-making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ages, the result analyzing ages and the themes of turning-point events coincided with and supported Erikson’s developmental theory. In study 2, the researcher studied 429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wit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They indicated that the meaning-making had a tendency to predict the psychosocial well-being better tha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degree in which participants had resolved psychosocial developmental tasks was a critical predictor for two types of well-being. Finally, wh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meaning-making, its role as a psychological buffer was not significant. Nonetheless, the moderate effect of the meaning-making for an association between Erikson’s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psychological/subjective well-being was identified in all ages. These ar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 and the meaning-making and on the social context which appears different with regard to ages about social rol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