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간연출을 위한 밀도 조절 Fog Screen 제작기법 : 공연예술에서의 활용방안

The Density Controllable Fog Screen Production Technique for The Space-directed : Utilization of the Performing Arts

초록/요약

2002년 핀란드에서 현대적인 모습의 '포그 스크린(Fog Screen)'이 소개된 이후 해외에서는 수증기를 이용하는 ‘투명 스크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2D 디스플레이에서 3D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스크린의 제작기법과 영사투사기법 등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하여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해외에 소개된 대부분의 논문들이 기초적인 원리 이외의 세부적인 제작기법과 성능에 관한 것 보다는 영사투사기법 등에 편중되어 있어, 새로운 제작기법을 연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포그 스크린‘의 제작에 관심을 가지는 새로운 개발자들과 예술가들을 위하여 2014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제작된 ’상향식 포그 스크린- Osservatore(2014)‘와 ‘상향식 포그 스크린 - Frontiera(2015)’의 재원을 비롯한 제작기법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며, 현재까지 상용화 되었거나 발표된 ’포그 스크린‘들이 콘텐츠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단일한 풍속을 유지하는 팬 모터(Fan motor)를 이용하여 균일한 밀도를 가지는 수(미세물방울집단)막을 형성하는 획일적인 분사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람 통로를 독립된 격실구조로 설계하여 각 펜에서 발생되는 바람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Dmx512 디지털 신호로 팬 모터 각각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수조에서 발생되는 한정된 양의 수증기를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집중시킴으로서 투사되는 영상의 내용에 따라 수증기의 밀도를 다르게 조절 할 수 있는 ’밀도 조절 포그 스크린‘의 제작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워터 스크린(Water Screen)'과 함께 사람이나 물체의 통과가 가능한 스크린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무대공연의 연출적인 측면에서 극적 효과의 상승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공연에서의 활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상향식 포그 스크린-Frontiera’가 2015년 4월 서울시민청 바스락 홀에서 공연된 연극 <The faces(얼굴들)>에서 ‘반투명 스크린’으로 활용된 사례를 기술하여 공연예술가들에게 공간연출을 위한 새로운 미학적 재료로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Since the modern version of 'Fog Screen' was introduced in Finland, 2002,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egarding 'transparent screen' using fog overseas has done in a wide variety of ways such as production and projection techniques in both 2D and 3D display. In contrast, domestic research has rarely done and it is difficult to research new production techniques of 'Fog Screen' because most of research papers deal with projection techniques rather than detailed production techniques including basic principles. This paper describes in detail the production techniques including financial resources of 'bottom-up fog screen - Osservatore(2014)' and 'bottom-up fog screen - Frontiera(2015)' which have been produced in 2014 and 2015 for the purpose of the new developers and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producing fog screen. Fog Screens presented until now have the uniform spray system forming equal density by using fan motor to keep the constant wind speed. This system cannot respond to the contents of film projected to the fog screen, which is hard to control the amount of fog.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oduction technique of density controllable fog screen has presented - it has the compartmental structure that has separate passage for wind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winds from fan and precisely controls each speed of fan and motor with Dmx512 digital signal so that disperse or concentrate the fog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ents projected to the fog screen. Also, it has a feature that a person or an object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screen like 'Water Screen,' which has possibilities to contribute to the dramatic effect of stage direction.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domestic or overseas usage of fog screen is hard to find and so 'bottom-up fog screen - Frontiera' used as 'translucent screen' in <The Faces>, a play performed at ‘Seoul Citizens Basrac Hall Theater’ in April 2015, provides one example as a new aesthetic material for stage direction to the performing artis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