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내적동기 지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Stress of employe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 주제(키워드) 일가치감 , 내적동기 지향성 , 직무스트레스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7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내적동기 지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인의 일가치감, 내외동기 지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직장인의 일가치감 및 내외동기 지향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장인의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내적동기 지향성은 조절역할을 하는가?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기업 1곳과 공기업 1곳에 재직 중인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 처리에 사용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직장변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고,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경우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한 문항을 선정하였다. 셋째, 직장인의 일가치감, 내외동기 지향성,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직장인의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내적동기 지향성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일가치감, 내외동기 지향성,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가치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스트레스와 내외동기 지향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내적동기 지향성과 외적동기 지향성은 모두 일가치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장인의 일가치감 및 내외동기 지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일가치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내외동기 지향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일가치감이 직무스트레스를 예언하는 강력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직장인의 일가치감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내적동기 지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내적동기 지향성과 일가치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가치감이 낮은 경우에는 높은 내적동기 지향성과 낮은 내적동기 지향성 간의 직무스트레스 지각 정도에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일가치감이 높은 경우에는 높은 내적동기 지향성이 낮은 내적동기 지향성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직무스트레스 연구에서 일가치감의 증진이 갖는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가치감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직장인이 일을 하면서 일과 자신에 대해 가치를 느끼고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면, 직무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기업에서의 시사점이 크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개인 차원 변인인 일가치감과 내적동기 지향성의 상호작용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일가치감의 적용가능성을 확장하고, 직무스트레스 예측의 정교화를 가능하게 한데 의의가 있다. 이는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것에도 참고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more초록/요약
In this study we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stres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job stress? Second, how does the perceived value of work and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of an employee affect his job stress? Third, does the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stress? To this end we surveyed 320 employees in one large private corporation and in one public corporation in Seoul. We analyzed the resulting datasets with SPSS 22.0. The methodology of our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e characterize the distribution of respondents with demographic and corporational variables. Second, we derive the Cronbach’s α value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our measurement, and perform a factor analysis on job stress measures to find the appropriate questions. Third, we conduct a correlation analys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job stress. Fourth, we perform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if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stres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ou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job stress, we find that job stress is reduced when the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of an employee and his job stress leve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the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Second, from our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a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on his job stress level,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of work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is not.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is a strong predictor of job stress level. Third, in our study to determine if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mployee’s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stress, we fi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his perceived value of work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if the perceived values of work are low, the job stress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is negligible; whereas, if the perceived values of work are high, a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exhibits less job stress than its peers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Our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perceived value of work in studies of job stress, and hint that in order to reduce employees’ job stress, perceived value of work needs to be boosted. It also suggests that if employees experience self-esteem and positive emotions in their workplaces, their perceived level of job stress will decrease. Furthermore, we confirm the effect on job stress by the interac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and perceived value of work, both of which have not been thoroughly studied and are traits of individual employees. These findings enable us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perceived value of work, particularly in sophisticated predictions of job stress. We expect that our study could help develop an effective strategy to control employees’ job stress in various workpla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