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09개정 중등영어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 2, 3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 분석 : 한국 문화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1st, 2nd, and 3rd Grades with a Focus on Korean Culture based on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초록/요약

본 연구는 2009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따라 발간된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을 우리 문화의 소개와 관련된 교육 목표에 맞춰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중학교 1, 2, 3학년 영어 교과서 3종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에 명시된 소재별 분석을 통해 교과서 내 문화 소재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화의 권역별?국가별 배경 분석을 통해 한국 문화의 비중을 파악하며, 전체 교과서에 제시된 한국 문화의 유형과 한국 문화 단원의 구성에 대한 분석을 한 후에 실제 교사와 학생 설문을 통해 우리 문화 소개에 관련한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 교사와 학습자간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19개 소재 중 문화와 관련된 4가지 소재에 대한 분석에서 3종의 영어 교과서의 문화섹션은 75.9%가 다양한 문화권의 생활양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듣기지문이나 대화문에서는 우리 문화의 소개를 다루는 내용이 다른 문화 소재보다 많이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의 배경에 대한 분석에서는 영어권이 아닌 나라에서 영어를 ‘외국어’로서 사용하는 확장권원 국가들이 다른 권역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많이 제시되었고, 그 뒤를 이어 우리나라, 영어권 나라 순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교과서는 영어권 국가들, 그 외의 다양한 국가들, 그리고 우리나라 의 문화에 대한 적절한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교과서에서 다뤄지고 있는 한국 문화의 내용을 문화의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물질문화가 71%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행동문화가 15%, 정신문화가 12%, 그리고 인간문화가 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한국 문화를 다루는데 있어서 물질문화를 비롯한 행동문화나, 정신문화, 인간문화를 골고루 제시하는 동시에, 여러 번 중복되어 나타나는 소재가 아닌 참신한 소재를 제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겠다. 한국 문화 단원의 구성은 소개하고자 하는 한국 문화의 요소가 주로 읽기와 쓰기영역에서 많이 다뤄지고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전 영역에 걸쳐 대부분 일관성 있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 출판사의 교과서가 각 학년마다 모두 한국 문화 단원을 수록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학년별?수준별로 내용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설문 조사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영어로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교육목표를 인지하고 흥미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런 수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어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 문화가 다양하지 않고 충분한 양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지만, 교과서에서 한국 문화를 다루는 것이 유익하다는 답변을 보였다. 한편, 학생들은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 중에서도 물질문화를 가장 많이 소개해주고 싶다고 답하였으며, 이는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물질문화의 양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학습자의 욕구와 교과서 내용이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기존의 교과서 문화관련 연구들과는 다르게, 교육과정의 우리나라 문화의 소개를 언급한 영어교육의 목표와 활용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영어권 나라의 문화이냐, 다른 나라들의 다양한 문화이냐, 우리문화이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바라는 효과적인 문화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고,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내 문화 학습에 대한 내용과 방법, 성취 기준 등에 관한 자세한 지침이 필요하다. 아무리 교육과정에서 교육 목표와 문화 소재를 제시해주어도 실제 수업에서는 정보의 부족, 상황의 제약 등으로 교육 목표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 교육에 관련된 교육과정의 지침을 마련하고, 교과서의 문화 관련 내용을 수정하며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학습 방법 제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문화 학습을 도와야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ith a focus on Korean culture in light of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r the research, three English textbooks for 1st, 2nd, and 3rd grades are selected. These books are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cultural themes provided in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Regional backgrounds of each culture, type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cultural units. A survey is also conducted o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and 1st, 2nd, and 3rd grade students to examine English classes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express Korean culture in English.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ultural themes shows that themes like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ies’ lifestyle’are found in higher quantities than the themes of ‘understanding Korean culture’and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Second, it appears that those countries in the expanding circle are displayed more frequently than Korea or countries in the inner circle are. Third, the type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focuses on one part of ‘Products’, that is, frequencies of four cultural patterns, such as ‘Products’, ‘Practices’, ‘Perspectives’ and ‘Persons’, are not balanced. Also,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in Korean cultural units is correlated with the purpose of the unit in general. The survey shows that learning activities of introducing Korean culture in English have some difficulties in the field, even if students are interested in introducing Korean culture. Also, they thinks that English textbooks must have increase the amount and variety of Korean cultur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urther profound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cultural backgrounds and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in English textbooks considering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Also, curriculum should have specific guidelines of cultural contents, method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includes Korean culture in order to teach culture effectively in English clas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