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개별화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Mental Health
- 주제(키워드) 분리개별화 , 정신건강 , 정서조절곤란 , 정서표현 양가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영주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6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분리개별화와 정신건강문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관계를 분석하고, 분리개별화와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분리개별화 척도(SIS),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AEQ-K), 간이증상검사(The Brief Symptom Inventory)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미혼 성인 328명(남 162명, 여 166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과 검증에는 SPSS18.0 통계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주요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통계적 유의미성을 sobel test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분리개별화는 정서조절곤란, 정서표현 양가성, 정신건강문제와 모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정서조절곤란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정신건강문제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와 정신건강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결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리개별화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및 정서표현 양가성 매개효과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at there would b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mental health problem.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 Separation-individuation, emotional dysregul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were measur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SIS), The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K-DER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 The Korean version(AEQ-K) and The Brief Symptom Inventory respectively. This study surveyed 328 unmarried adults(162 males and 166 female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 gi-do Province from April to May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 0.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mental health problem,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lso, Multi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s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emotional dysregul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Emotional dysregual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also negative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 Second,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