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이 지각한 부부폭력, 자녀학대, 형제폭력과 학교폭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Middle Adolescents' perceived Interparental Violence, Child Abuse, Sibling Violence and School Vioence
- 주제(키워드) 부부폭력 목격 , 자녀학대 , 형제폭력 가해/피해 , 학교폭력 가해/피해 ,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 child abuse ,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24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부폭력 목격이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의 신체적·정서적 자녀학대, 형제폭력 가해 및 피해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 경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중학교 2곳과 경기도 지역의 고등학교 2곳을 선정,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학교폭력 가해나 피해 경험이 있는 대상자(N=223)만을 선택,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상관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가해는 형제폭력 가해와 가장 큰 상관이 있고, 학교폭력 피해는 부부폭력 목격에 이어 형제폭력 피해가 두 번째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형제폭력 가해/피해과 학교폭력 가해/피해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와 관련된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를 보면, 부부폭력 목격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학대와 형제폭력 가해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모형에서는 부부폭력 목격이 자녀학대를 통해서만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학대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 연구모형에서는 부부폭력 목격이 학교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형제폭력 피해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자녀학대는 형제폭력 피해를 통해서만 학교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통합 경험인 부부폭력 목격, 자녀학대, 형제폭력 가해 및 피해와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와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조망하여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이 겪는 가정 내외의 폭력 경험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 연구에서 찾아보기 힘든 형제폭력의 역할을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 관련 연구에서 그동안 경시되어왔던 형제폭력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논의에 제시되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arents’physical and emotional child abuse and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have any mediation effect in the process that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has impacts on the school violence, and it is investigated in two channels of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For this, two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and two senior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targeting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and senior high school first grade students. Data collection has been done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only those who had experiences in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N = 223) were selected among them to be analyzed by the SPSS 18.0 and AMOS 20.0 programs to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of path structure. The main results valida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revealed that there is the greatest correlation between perpetra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at of sibl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has the second greatest correlation with that of sibling violence following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This means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and that of school violence. Second, the result of applied research model concerning perpetration of school violence showed that child abuse and perpetration of sibling violence have mediation effect in the impact that the witness of the interparental violence has on school violence. In the same model,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turned out to influence the perpetration of school violence only through child abuse, which verifies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child abuse. Third, in the research model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the mediation effect of 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was verified in the process that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has impact on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Child abuse appears to influ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only through 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experiences of violence of the young people inside and outside of their hom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tness of interparental violence, child abuse, perpetration/victimization of sibling violence and that of school violence which are the domestic (integral) violence experiences of the young people. In particular, by studying the role of sibling violence in connection with school violence, which has been neglected until now, this study ascertains to reveal the importance of sibling violence in relation to domestic viol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chapte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