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공시 음운론 : 원 함남 단천 지역어를 대상으로

A Synchronic Phonology of Goryeo-mal in Central Asia : Focusing on Original Dancheon Dialect in the South Hamgyeong Province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함남 단천 화자들의 중앙아시아 고려말을 공시 음운론적으로 기술·설명하는 것이다. 고려말은 1863년 이후 함경도 지역에서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한 후 1937년 강제 이주된 한인들이 구사하는 동북방언의 하위 변종이다. 이 고려말은 이주 2세대부터 소멸의 과정을 밟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소멸 언어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이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고려말의 공시 음운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이 연구는 서론, 결론을 포함 총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기존 논의 검토, 연구 대상,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 방법 중 자료 기술과 설명에서는 먼저 공시 음운론의 기술 대상 범위를 한정하고, 음운 변이의 기술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공시 음운론 설명을 위한 이론적 도구인 음운 체계, 기저형과 변별적 자질, 음운 규칙과 제약을 다루는 이 논의의 관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서론에서 언급한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고려말의 음운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음운 체계는 음소 체계와 운소 체계로 나눌 수 있다. 고려말의 음소 체계에서는 체계의 변화와 관련한 음운 변이가 나타난다. 특히 이러한 변이는 자음보다는 모음에서 현저하게 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또한, 공시적으로 관찰되는 음성적 변이도 기술에 포함하여, 음소의 공시적 실현에 대한 정밀한 해석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운소 체계에서는 첫째, 고려말에서 나타나는 음고(pitch) 정보를 성조로 보아야 하며, 둘째, 유형론적으로는 음고 악센트(pitch-accent) 언어일 수 있지만, 성조 변동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고조(H)와 저조(L)를 인정한 성조소 중심의 기술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고려말에서 나타나는 음소의 변동에 대해 논의하였다. 음소의 변동은 음운 규칙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 장에서 규칙 적용역의 확대 및 축소, 규칙의 구조 기술 변화와 관련된 음운 변이를 함께 다루었다. 이 규칙들 중에는 일반화하기 어려운 규칙들도 존재한다. 이렇게 규칙성을 담보로 하지 않는 규칙 및 현상들을 이 논의에서는 모두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규칙들을 공시 음운론 기술에서 배제한다면, 역동적인 공시태의 기술은 앞으로도 요원한 일이 되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점을 최대한 고려하여 음소 변동을 기술하였다. 음소 변동은 대치, 탈락, 삽입, 축약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중 대치는 동화와 비동화로 나누어 살폈는데, 동화에서는 비음화, 유음화, 변자음화, 원순모음화, 움라우트, 모음의 완전 순행 동화, 구개모음화, 구개음화를 다루었다. 비동화에서는 평폐쇄음화, 경음화, 활음화를 다루었다. 이렇게 대치에서 동화와 비동화를 나누어 살펴본 까닭은 대치가 일어나는 동기가 다르다는 것을 체계 내에서 보여주어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탈락에서는 자음군 단순화, 장애음 탈락, 유음 탈락, 비음 탈락, 후음 탈락, 어간 모음 탈락, 활음 탈락을 다루었다. 삽입에서는 구에서 나타나는 ‘ㄴ’ 삽입과 활음 삽입을 다루었고, 축약에서는 격음화, /ㆆ/에 의한 경음화, /ㅕ/ 축약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이 지역어의 성조 실현과 변동을 곡용과 활용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성조 실현과 변동을 살펴본 결과 고려말에는 두 가지 성조 배열 제약이 존재하며, 곡용과 활용의 각 유형별 분류에서 기저에 명세된 성조소가 표면에 도출될 때 교체, 탈락, 축약이 일어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성조 실현에서 [LLH], [LLHL]이 [LHL], [LHLL]로 변이가 출현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이는 활용보다는 곡용에서, F1보다는 F2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며, 악센트 조정 규칙과 성조 추이와는 무관한 현상임을 설명하였다. 고려말은 더 이상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는 언어이다. 그렇기 때문에 불규칙하고 일반화하기 어려운 음운론적 정보라 하더라도 최대한 기술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지점을 고려하여 역동적인 고려말의 언어적 실체를 기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major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honologically describe and explain Goryeo-mal in Central Asia spoken by Korean immigrants from Dancheon, South Hamgyeong Province from the synchronic point of view. Goryeo-mal is one of the varieties of North-eastern Dialect, which is spoken by Koreans who were forced to immigrate to Central Asia in 1937 after they had left for the Russian Far-East by Soviet Russian from Hamgyeong Province since 1863. The variety has been on the process of being lost since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From the perspective of endangered language preserv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order to indicate and analyze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mal synchronically, this dissertation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including introduction and conclusion. Chapter 1, the introduction, sh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mmarizes previous researches and presents the objects and methodology of the present research. Among other sections, “The Data Description and Explanation” under the section Methodology, in particular, deals with the description scope of synchronic phonology and the description method for phonological variation. The section also mentions the basic point of view of this study on such theoretical tools for synchronic phonology as phonological systems, underlying representations, distinctive features and phonological rules and constraints. In Chapter 2, the phonological system of Goryeo-mal i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the methodology introduced in the previous chapter. Its phonological system is divided into a phonemic and prosodic system. The phonemic system of Goryeo-mal witnesses some phonological variation, especially in vowels related to diachronic changes rather than in consonants. Moreover, it must be noted that for the more detailed analysis, even some phonetic variation being observed synchronically i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As for its prosodic system, the following two ideas are presented: firstly, the pitch information occurring in Goryeo-mal should be considered to be tonal; secondly, although typologically the variety could be a pitch-accent language, the real phenomena indicates that it requires a toneme-centric description with /H/(high tone) and /L/(low tone). Chapter 3 is devoted to discuss various phonemic alternations in Goryeo-mal. The phonemic alternations are described with phonological rules. In addition, this chapter covers phonological variation that is related to the extension and reduction of domains of rule application and the change of rules’ structural description. Although some of the rules are not easily generalized, I have tried to describe them as far as possible since if those rules that do not assure regularity are excluded from the synchronic description, then a dynamic synchrony still becomes a long way off being described. The phonemic alternations cover following four categories: substitution, deletion, insertion and contraction. First of all, substitution is divided into assimilation and non-assimilation. The former deals with nasalization, lateralization, peripheralization, /?/-rounding, Umlaut, total pro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s, vowel palatalization and /h/-, /k/- and /t/-palatalization, whereas the latter syllable-final neutralization, glottalization and glide formation. The reason why I have divided substitution into the two subcategorizations is that it needs to show system-internally that motivations of the two kinds of substitu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Second, deletion includes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deletion of obstruents, liquids, nasals, glottals, stem vowels and glides. Third, insertion deals with /n/-insertion in phrases and glide insertion. Finally, contraction covers aspiration, glottalization by /?/ and contraction of /y?/. Chapter 4 is on tonal realization and alternation both in declension and conjugation. Goryeo-mal has two kinds of tonal sequence constraint, and alternations like substitution, deletion and contraction occur when tonemes specified in underlying representations are derived on surface. The tonal realization shows variation between [LLH] and [LHL] and [LLHL] and [LHLL] respectively. This variation occurs much more in declension than conjugation and F1 than F2 speaker, and it is related to neither accent modification rules nor tone shift. Goryeo-mal is in danger of becoming extinct, and as time passes the condition of studying the variety is getting more difficult. For these reasons, it is important to describe its phonological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ome phenomena are irregular or hard to be generalized. Considering this significance of such study, this research is devoted to try to describe the dynamic linguistic reality of Goryeo-ma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