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사회에서의 폐기물관리법제
Study on the Legal System for Waste Management in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 주제(키워드) 자원순환 , 폐기물 , 자원순환기본법 , 자원순환사회 전환 촉진법 , 폐기물관리법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 Resource circulation , Waste , Fundamentals of Resource Circulations Act ,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Conversion Promotion Act , Waste Management Act ,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하중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법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17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과거에는 폐기물의 발생을 산업사회의 전개에 따른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인식하고 자원의 흐름을 채취ㆍ제품생산ㆍ유통ㆍ소비ㆍ폐기라는 선형적 구도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폐기물의 발생 및 폐기물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폐기물의 처리는 한계에 직면하였으며 에너지 부족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천연자원의 고갈 및 폐기물의 증대라는 문제 해결을 위하여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자원 및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원순환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그 일환으로 독일은 「폐기물관리법」을 「순환관리 및 폐기물법」으로 전환하고 일본은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을 제정하여 모든 사회구조를 자원이 선순환되는 체계로 전환하였다. 우리나라도 2008년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폐기물관리정책의 방향을 단순 재활용 중심에서 발생억제와 자원화 확대로 전환하였고 자원순환의 개념을 도입하는 등 법제를 정비하였다. 우리나라의 현행 폐기물관리법제는 사후적 처리에 급급하게 법의 제ㆍ개정 과정을 거쳐 비체계적이고 폐기물, 재활용 그리고 순환자원이라는 용어의 정의도 불명확하고 이들 상호 간의 관계도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더불어 자원에 대한 대중의 의식도 선진화되지 못하여 자원으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물질마저도 최종적으로 폐기되어야 하는 물질로 인식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해서 「자원순환기본법」(가칭)의 제정을 통한 체계 정립 및 보완이 분명히 필요하다. 다만, 폐기물을 아예 순환자원으로 전환하거나 폐기물의 범주를 축소하는 것에 있어서는 우려가 남는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순환자원은 유용한지의 여부에만 중점을 두기 때문에 폐기물의 범주를 벗어난 순환자원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국민의 건강 및 환경에 위해를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원순환은 천연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생산과정이나 소비과정에서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불가피하게 발생한 폐기물은 순환적으로 이용하며 이용할 수 없는 폐기물은 적정하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선순환 구조로 인한 천연자원의 고갈 및 폐기물 증대에 대처하기 위하여 도입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자원순환의 방법에는 폐기물 감량화, 재활용, 에너지화 등이 있는데 해당 방법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굳이 폐기물이나 순환자원의 범위 변경이 아닌 정의를 분명히 하는 것과 각 법에서 부족한 점을 보충하고 강화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최종폐기물 감량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에 있어서는 형식면에서는 기본법으로의 제정이 중요하며 내용면에 있어서는 재활용품 수집업계 관련 단체들이 비판하는 인증에 대한 부담 및 작은 정부 및 규제 완화에의 역행에 있어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정부가 과도하게 규제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규제완화, 유인제도 등을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폐기물 전반에 대한 새로운 구도의 설정과 체계적인 법제적 정비를 통하여 국민, 기업 등 모든 사람들에 있어서 올바른 폐기물의 관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In the past, the generation of waste was recognized as an inevitable phenomenon of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flow of resources was identified in a linear process of samplingㆍproductionㆍdistributionㆍconsumptionㆍdisposal. However, due to the surge in the number of types and in the sheer volume of waste pushed its treatment to the limit and engendered energy shortage issue.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of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increase of waste, developed nations such as Germany and Japan promoted resource circulation policy to secure resources and energy. For instance, Germany amended 「Waste Management Act」 to 「Circulation Management and Waste Act」and Japan enacted 「Fundamentals of Establishment of Circulation Type Society Act」 to shift the overall social structure to systemize circulation of resources. Korea also enacted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in 2008 which shifted the direction of the waste management policy from simple recycling to the inhibition of the generation of waste and the expansion of reprocessing. In case of Korean current waste management laws, they were established through hasty and perfunctory enactmentㆍamendment processes as posterior measures. Hence, the legal definitions of waste, recycle and recyclable resources and their inter-relations are unclear, which adds to the already existing confusions.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by the general public towards resource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materials that are capable of functioning as resources are perceived as objects to be disposed. For the above reason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rove wast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enactment of 「Fundamentals of Resource Circulations Act」. Only, there exists lingering concern on simply converting wastes into recyclable resources and minimizing the scope of waste. Currently discussions on recyclable wastes are centered on their utility. This limits the management of recyclable resources not categorized as wastes, which could ultimately damage the health of citizens and environment. Resource circulation is a concept adopted to manage the increase of waste and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by establishing virtuous circulation system through minimizing natural resources input,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wastes in production or consumption process, utilizing inevitably generated wastes through circulation and finally disposing un-usable wastes.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there exist measures such as reduction of wastes, recycling and conversion to energy. If such measures are utilized properly, it is unnecessary to change the limits of wastes or recyclable resources. In fact, it is conjectured that inhibition of generation of waste and, ultimately, the reduction of final wastes would become feasible simply by clarifying the definitions and supplementing and reinforcing defects of each laws rather than changing the scope of wastes or recyclable resources. In the establishment of 「Fundamentals of Resource Circulations Act」, in terms of its format, the law must be established as a fundamental law. Furthermore, in terms of its contents, interest groups related to recyclable materials collecting business might argue that this law imposes further restrictions on collecting recyclable materials and is in contradiction to 'small government' policy. Thus, in order to resolve possible disputes between the interest groups and the government, continuous dialogue amongst them are essential. In aspects where the government imposes excessive restrictions, it is appropriate for the government to de-regulate and/or utilize inducement policies. Ultimately, perceptions of the society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and enterprises on the proper waste management must be shif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scope and definitions of waste and systematic rectification of related law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