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톨릭 주일학교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과 성찰프로그램 연구 : 천주교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 청년교사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Catholic Sunday School and Reflexivity Program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young catechists in the Archdiocese of Seoul and the diocese of Uijeongbu

초록/요약

한국 사회의 저출산, 노령화, 종교시장의 안정화 논의에 따른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현재 교회의 양적 성장은 지난 15년간의 성장기와는 다른 양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서울대교구와 같이 큰 교구들에서는 그동안 ‘복음화 2020’, ‘명동 종합 계발’, ‘성당 수 늘리기’, ‘신자 수 늘리기’, ‘소공동체 운동 확산시키기’ 등을 통한 양적 성장에 초점이 맞춰 있었다. 그 결과 지난 15년간 천주교 신자 비율, 복음화 비율이 가장 높아졌었다. 이렇게 새로운 신자들의 유입을 늘리는 양적 팽창, 과업중심의 패러다임은 공급자 측면에서 봤을 때 합리적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미사참여율이 20%대에 머무르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과연 이런 방향이 아직도 유효한가는 성찰해 봐야 한다. 또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따른 성찰적 근대화의 시선에서 볼 때 이 방향이 과연 교회적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은 냉담율과, 미사참여율에서부터 문제를 제기한다. 바꿔 말하면 왜 신자들은 교회로부터 이탈하는지, 왜 신자들은 교회의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항의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반면에 충성심 있는 신자들이 지금 교회에 나오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묻는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질문을 교회의 가장 하부조직인 주일학교의 청년교사들로 축소, 한정해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주일학교는 신앙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모체인 교회와 다름없이 전형적인 과업중심의 운영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일반 사회 영리조직과 마찬가지로 주일학교는 성과중심, 보상체제, 처세술과 같은 것들이 재생산되는 공간으로 위치해 있고, 이로 인해 구성원들의 피로도가 높아져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소진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청년교사들이 사회에서 제공받지 못하는 ‘마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교회를 찾는 상황에서 과업중심 패러다임은 지속적으로 교회를 이탈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쇠퇴기와 침체기를 겪는 주일학교가 전문가의 도움으로 회복되어 다시 성장기에 들어선다고 해도, 과업중심의 패러다임이 변하지 않는 한 쇠퇴기와 침체기를 반복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지금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연구자는 심층면접과 포커스그룹인터뷰 과정을 통해 이를 위한 한 가지 단서를 찾았다. 그것은 이들이 서로 이야기하고 대화하고 질문하는 과정 중에 그들의 문제점을 제대로 성찰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이었다. 개인의 성찰성 회복은 결국 교회의 성찰로까지 이어질 것임을 상정한 연구자는 성찰프로그램을 살펴보기로 하였다. 연구자는 청년교사들의 성찰을 돕기 위한 성찰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공간을 찾아 참여관찰을 하고 인터뷰를 했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 모두에게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지는 않더라도 그 공간이 성과중심의 성장이 아닌 전인적 성장을 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들은 그곳에서 이탈보다는 항의를 통해 신앙적 성장을 이루고 있었고, 그 성장은 교회가 추구하는 ‘새로운 복음화’로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연구자는 이를 통해 교회가 담론의식을 회복하여 현재를 성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거시적으로 볼 때 교회의 냉담률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행동하는 신앙인으로의 모습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교회가 이제까지 추구해 온 양적 성장, 곧 자연스러운 복음화율 증가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more

초록/요약

Korean Catholic church is in crisis. Considering the given social changes, the growth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forthcoming decades is not so likely as before. In this context, some large dioceses- such as the Archdiocese of Seoul - have promoted religious campaigns to revive Catholic church. Most religious campaigns promoted by Catholic church aim at the quantitative growth of Korean Catholic church. However, it has been rarely asked whether this strategy is effective. It is well-acknowledged that church attendance has been falling in Korea. No previous literature clearly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Korean Catholic church's strategy to handle this crisis. In addition, the task oriented strategy of church does not seem to fit into the essential idea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main assump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the growth-oriented strategy taken by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be reevaluated. Based on this basic assumptio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wo-fold. Firs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ason of the crisis. Why do some church goers lose their faith and stop attending Mass and other pastoral programs? Probably some organizational aspects in Catholic church make some people turn into the disinterested.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a solution to overcome the crisis in Korean Catholic church. Organizational factors in Korean Catholic church do matter. Sunday School organizations have been chosen and delved into, since Sunday Schools are the very fundamental of the youth ministry and catechism of Catholic church. Some Sunday schools in Seoul and Gyeunggi province were investigate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I found that many Sunday Schools neglected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enhance spirituality of young parishioners. Instead, Sunday Schools were generally run by task-based paradigm. Furthermore, achievement-focused programs, reward-systems based on achievement, and worldly wisdoms were being reproduced inside Sunday Schools. All these are characteristics that are easily found in many secular social organizations. In other words, Sunday Schools are secularized. This makes young and inexperienced Sunday School teachers exhausted and burned out. They left church due to dissatisfaction triggered b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unday Schools. Secularized church organization failed to enhance spirituality and peace in mind of parish community members. Without the change in achievement-focused paradigm,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cannot be overcome. I also suggest a solution to manage the crisis in Korean Catholic Church. While conducting this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I was able to discover that an opportunity for open communication and a chance to use introspection may play a crucial role in reviving church organization. Although reflexivity-enhancing programs do not lead to dramatic changes in Sunday School organization and church itself, these seem to help participants to look at the causes of crisis in church objectively. In addition, these programs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achievement-oriented programs that currently dominate the organizational logic of church. Reflexivity-enhancing programs let the voices and opinions of young people in church be heard. Using these programs, young people can pursue their spiritual growth, instead of leaving church with dissatisfaction. In sum, this research reveals two facts. First, the quantitative growth-oriented paradigm in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be reconsidered. This paradigm seems to be a cause of current crisis in church. The religious programs promoted under this paradigm has secularized church, and people who are discontented with these programs are leaving church. Also this quantitative growth-oriented paradigm hinders the inflow of young people into church. Second, those programs that encourage open communication and introspection development give church members an opportunity for their opinions and voices on church organization to be heard. In addition, these can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church. These programs can be the seed of the fundamental change in church organization, and church members can achieve their spiritual development using these programs. In other words, the qualitative growth-oriented paradigm and programs should replace the currently dominant paradigm and programs in church. This revision of the pastoral strategy might help to cultivate the young members of church community as whole persons and, eventually, to contribute to the evangelization of the society which, reversely, may lead to a real and natural growth of church not only in quality, hopefully, but also in quant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