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 복싱 선수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life of professional boxe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정용철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14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에서 프로 복싱 선수로 살아가는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로, 선수 생활 동안에 겪은 경험과, 각각의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현재 프로 복싱 선수 5명을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을 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삶을 직, 간접 관찰하고, 1:1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과 해석은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현장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고,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전반적으로 이해함으로서 스토리 텔링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내러티브 자료를 세세히 검토하면서 프로 복싱 선수 경험의 특징으로 보이는 여러 영역들을 추출하였고, 그들의 삶과 연관된 공통적인 패턴으로 복싱 입문기, 선수 생활 적응기, 선수 생활 성숙기의 시기로 나누어 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들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프로 복싱 선수의 삶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프로 복싱 선수들은 생계를 위해 다른 일을 겸직하고 있었고, 그것마저 힘에 부친 한 선수는 힘겹게 수성한 챔피언의 자리를 내려놓고 은퇴를 고려 중이었다. 이렇게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복싱 그 자체를 너무도 사랑해서, 복싱을 하기 위해 다른 일을 해야만 하는 선수들에게 대중들의 관심과 따뜻한 격려, 그리고 응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선수들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앞으로 정부의 많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ore초록/요약
The study explores five narratives of Korean professional boxers. The stories display their meanings and experiences while they were athletes.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Clandinin & Connely, 2000). The results show several parts such as entrance for boxing, the period of adaptation, maturity during their career. All boxers have many difficulties. Three boxers had to have side job for their living. And one boxer considers of retirement laid his champion belt down owing to economic hardship. All boxers needed public interest, warm ㄷncouragement, and cheer of the fa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government have to more suppor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