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축약조로 본 현종~숙종 대 조청관계 : 안추원 사건과 북한산성 수축 논의를 중심으로
The Peace Treaty of 1637 and the Manchu-Korean Relations, 1637-1720
초록/요약
본 논문은 정축약조가 숙종 대까지 지속적으로 작동하면서 反淸意識이 현실정치에 드러나지 못하게 제어하거나 약조 문제를 두고 국론이 분열하는 데에 영향을 끼쳤던 사실을 검토했다. 정축약조는 1637년에 청과 조선이 맺은 약조로서, 병자호란 항복조약의 성격을 지녔다. 지금까지는 정축약조를 청이 입관(1644) 이전에 조선을 압박한 수단으로 이해하며 그 강압적인 성격만 부각했다. 본고는 이런 시각을 뛰어넘어, 우선 정축약조의 유래와 특징을 검토한 뒤, 입관 이후 정축약조가 실제로 작동한 사례를 분석했다. 정축약조는 총 8개의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이 항목들을 청이 조선을 강압하기 위해 만든 항목들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사실 이 항목들은 멀게는 조선과 여진족이 관계를 맺은 시점부터, 가깝게는 정묘호란 당시부터 양국 간 문제되었던 사안들을 일방적으로 청에게 유리하게 조정한 것이다. 또한 각 항목은 이행의 만료일이나 이행 위반 시 처벌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었기에, 청에게 유리하게, 조선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했다. 현종 대 안추원 사건은 정축약조가 조선의 반청의식이 현실정치에 반영되는 것을 제어하는 장치로 작동했음을 잘 보여준다. 안추원은 병자호란 때 청에 붙잡힌 피로인이었는데, 1664년에 조선으로 탈출했다가 1666년에 다시 청으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청은 조선이 정축약조를 위반하고 피로인을 몰래 수용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조선이 안추원을 수용했던 이유는 당시 산림을 중심으로 유행하던 반청의식과 정축약조를 느슨하게 이행하던 조정의 태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하지만 조선은 정축약조를 위반한 이유로 국왕과 대신이 청 칙사에게 조사를 받았고 청은 조선에 벌금을 부과했다. 이 사건을 통해 청이 정축약조 위반의 책임을 국왕에게 물었고, 그 결과 사대부는 반청의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를 현실정치에 반영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위험한 시도라는 것을 재확인했다. 숙종 대 북한산성 수축 논의는 정축약조가 조선 내 정치투쟁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 알려줬다. 북한산성 수축은 城池 修築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항목을 위반하는 사업이었다. 숙종은 북한산성 수축에 대한 의지가 강했고, 이를 지지하는 정치세력도 확보했지만, 반대파는 정축약조를 위반하면 청의 힐난을 받을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몇 차례의 수축 시도에서 숙종은 정축약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끝내 축성 사업을 포기해야했다. 1711년에 북한산성을 수축했을 때도, 청이 청의 필요에 따라 먼저 수축을 허락해왔기 때문에 役事를 시작할 수 있었다. 이는 정축약조가 조선 정치세력의 분열에 영향을 끼치고, 결과적으로는 청의 개입 없이도 청의 입장이 조선에 관철되는 결과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현종, 숙종 대 조청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정축약조는 청의 入關 후에도 여전히 작동하면서 양국의 외교관계와 조선 내부의 정치상황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즉, 정축약조는 현종?숙종 대에 걸쳐 청의 實力을 직?간접적으로 조선에 행사하게 한 장치였다. 더 나아가, 사상적으로는 반청의식이 유행했지만, 외교적으로는 청과 평화와 안정을 구가하고 있던 조선에서, 현실적으로는 청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스스로 알아서 복종할 수밖에 없었던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more초록/요약
The Peace Treaty of 1637 was concluded between the Qing and Chos?n, following the Chos?n capitulation to the Manchu Khan in the last phase of the Manchu invasion of Chos?n Korea, 1636-1637. Consisting of eight articles, the Peace Treaty of 1637 had significant effects on various aspects of the Qing-Chos?n relations throughout the late 1600s and into the early 1700s. Indeed, the articles of the treaty functioned as an apparatus by which the Chos?n government was strictly overseen and controlled by the Qing. With emphasis on the case of An Ch’uwon, a Korean captive to the Manchu, and the issue of repairing the Pukhan Mountain Fortress in the vicinity of the capital city, this study examines the essence of the Qing-Chos?n relations after the Manchu conquest of China in the mid-1640s, during the reigns of King Hy?njong(r. 1659-1674) and King Sukjong(r. 1674-1720) more exactly. The eight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37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ssues that had remained unsolved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1500s when Nurhaci rose to power in western Manchuria and began to threat Chos?n and the Ming. Very similar to the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27, concluded between the Later Jin(renamed Qing later) and Chos?n, the articles of the Peace Treaty of 1639 were stipulated in more details to the advantage of the Manchu. The An Ch’uwon(安秋元) case, which occurred in early 1666 shows that the Peace Treaty of 1637 prevented the anti-Manchu sentiment and proposals among the Korean ruling elites from being employed on the political stage in reality. In his early teens An was captured by a Manchu soldier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but he successfully escaped from Beijing and returned to Chos?n in 1664. Unsatisfied with his life in Chos?n, he escaped back to Qing China in 1666 only to be arrested on the way. When An fled back Chos?n, the central authority of Chos?n did not repatriated him to Qing China. It did not even report it to Beijing, which obviously violated the Peace Treaty of 1637, with the result that the Chos?n king and ministers were investigated by the special investigator whom the Manchu emperor dispatched to censure the Chos?n authority. Court debates over the reconstrction of the Pukhan Mountain Fortress during King Sukjong`s reign(1674-1720) provides the way in which the Peace Treaty of 1637 had heavy influences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Chos?n around the turn of the 1700s. The reconstruction of the Pukhan Mountain Fortress was a project that violated the clause that prohibits the establishment of a fortress. King Sukjong had a strong will over the reconstruction of the Pukhan Mountain Fortress and even secured the political power that supported this decision. But the opposing part disagreed, claiming that it was more dangerous to violate the Peace Treaty in 1637. After a few attempts, King Sukjong eventually gave up the project without resolving the issue of the Peace Treaty in 1637. This led the treaty to affect the division of political power in Korea, and consequently led Korea to be influenced by Manchu's arguments without its intervention. The discussions above can explain the Manchu-Korean relations during the years of King Hy?njong and King Sukjong as follows. The Peace Treaty in 1637 was still effective then, exert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Moreover, despite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Manchu-Korean Relations on the outside, the truth was that Korea submitted to Manchu out of its own will due to the Peace Treaty in 163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