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학생들의 수업 기피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voidance Factors of Sports Clubs in Co-ed Middle School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생선수와 일반학생 모두가 건강한 신체와 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학교체육진흥법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연구이다.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운동부 문제 및 일반 학생들의 체육 활동 침체 극복 및 비만, 우울증, 학교폭력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기대하고 있지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 중 학생들의 수업참여 기피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스포츠클럽의 궁극적인 목적을 수행하는데 있어 더욱 질 높은 수업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지역 3개의 남녀공학 중학교를 비확률적 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을 통해 선정된 361명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학생들의 수업 기피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권순철(2004)이 개발한 설문 항목을 수정하여 1, 2, 3차 예비 설문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답변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자료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 기피요인에 관한 결과는 남학생 보다 여학생, 저학년 보다 고학년이 수업참여를 기피하려는 경향이 높고, 학년이 올라 갈수록 기피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스포츠클럽을 지도하는 교사가 남교사인 경우 보다 여교사인 경우에 기피 경향이 높다. 그리고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이 단체 종목인 경우보다 개인 종목인 경우에 기피 경향이 높고, 형제가 없는 학생보다 형제가 있는 학생의 기피 경향이 높다. 게다가 활동적인 여가를 즐기는 학생보다 비활동적인 여가를 즐기는 학생의 기피 경향이 높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sports clubs in Korean middle schools. As part of the School Sports Promotion Act, sports club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general students as well as student athletes a healthy physical condition and character. School sports clubs have anticipated solutions to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athletic clubs, stagnation of physical activities in general students, obesity, depression and school bullying. However, many problems have arised in the course of the curriculum. Within these,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s of students' avoidance towards participating in sports education. With this in consideration, the study also suggests preliminary data to provide a better achie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focuses on the main purpose of school sports clubs. A total of 361 student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from three different co-ed middle schools in three regions of Seoul. In order to analyze students' avoidance factors of sports clubs, questions in a survey composed and carried out by Kwon, Soon-Chul (2004) was modified and through first, second and third preliminary surveys, the questions were once again modified and revi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llected based on self-ratings. Results after analyzing the avoidance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sports clubs showed that more females than males and more upper grade students than lower grade students had high avoidance tendency which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student's grade, the higher the avoidance tendency. Moreover, female instructors of sports clubs was also a high avoidance factor compared to male instructors. In addition, students preferred group activities as opposed to individual activities and those with siblings showed higher avoidance compared to those who are the only child in the family. Compared to students who enjoy physically active leisures, those who enjoy inactive leisures also had a higher tendency to avoid sports club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