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르디외와 호네트의 상징투쟁 비교연구 : '인정'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Symbolic Struggle between Bourdieu and Honneth : Based on the Notion of ‘Recogni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상징투쟁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호네트와의 비교 속에서 부르디외의 이론이 경제주의적이고 구조적 공리주의로 읽히는 오해를 풀어내고, 이를 통해 사회학적 개념으로서 ‘인정’이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부르디외는 사회가 장(field)과 아비투스(habitus)의 끊임없는 변증법을 통해 운용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비투스가 자본(capital) 축적을 토대로 행위자의 이익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점, 그리고 사회적 조건의 재생산을 위해서 집단적으로 기획된 아비투스가 무의식적으로 체화된다는 점 등은 그의 이론에서 발생하는 상징투쟁과 더 나아가 사회전반적인 논리들이 경제주의적 관점의 변이 이상이 아니라는 비판을 사람들로부터 끊임없이 야기하였다. 호네트 또한 이러한 입장에 서 있는 한 사람으로서 부르디외가 사회·규범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투쟁들을 경제적인 투쟁들과 명확하게 구분짓지 못함에 따라서 사람들이 투쟁을 하는 동기에 대하여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에 봉착했다고 바라본다. 구성원들은 자신이 사회로부터 갖고 있는 일정한 도덕적 행위 기대에 대한 믿음을 토대로 자기존중감을 확립하기 때문에 이것이 무시될 경우 올바른 자존감 확립을 위해 싸움에 던져지는데, 부르디외의 이론에는 행위자가 가지게 되는 도덕·규범적 동기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는 부르디외의 행위자가 체득하게 되는 아비투스에 대한 잘못된 조명에서부터 비롯된다.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아비투스를 체득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마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나은 활동을 위한 실천 감각을 각인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르디외의 사회적 행위자가 단순히 사회적으로 구조화 된 자동인형들이 아니라, 구조적인 가능성을 담보 받은 주체들이며 오히려 이러한 즉각적인 실천 감각에 젖어 있기 때문에 개인에게서 장과 분리되어 발생하는 주관적 차원의 감정적인 행위 동기를 생각하는 것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결국 호네트와 부르디외가 동일한 상징투쟁이라는 동일한 개념을 차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학자 사이에서 궁극적으로 균열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사회적으로 발생하는 보편가치를 어떻게 상정할 것인가에서부터 시작된다. 상호작용을 토대로 운용되는 인정의 매커니즘과 이것에서부터 배태하는 보편가치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두 학자가 갖는 입장의 차이가 틈을 발생시켰다. 그러나 부르디외의 입장에서 행위자가 가지는 무의식적 실천 감각과 행위 동기는 결코 장과 분리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정과 보편가치의 형성은 호네트가 주장한 바와 같이 해석의 확립을 위한 문제가 아니라, 장내의 내생적 변증법으로부터 기인하는 상징투쟁의 구성물이자 결과물로 읽혀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앞으로의 사회학-장에서 인정과 그로부터 배태되는 개념들이 어떻게 고려되어야 할지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e common misunderstanding of Bourdieu as economism and utilitarianism in comparison to Honneth under the notion of the symbolic struggle and to seek the appropriate usage of “recognition” as a sociological conception. Bourdieu argues that a society operates under the ceaseless dialectics between the field and habitus.However, Bourdieu cannot avoid the criticism of economism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The main goals of habitus are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the unconsciously embodied sense of structured habitus for social reproduction. Honneth, also one of Bourdieu’s opponents, argues that Bourdieu has failed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social-moral struggle and the economic struggle, and this uncertainty has a limitation in explaining the motivations of moral struggles. As members of a society are supported in their self-assurance by groups, they feel threatened when people experience disrespect from the common moral norms in daily life; however, Bourdieu cannot explain the reason why people encounter such situations. This criticism, nonetheless, is derived from a misconception of habitus. People understand habitus in the practical sense for better strategies; they do not become numb automatons without any considerations. This means that the members in society guarantee their structural possibilities based on the society they belong to. For this reason, the emotional motivations of the actions of social subjects departing from their field may cause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the motivations of one’s actions. Ultimately, such disparities between Honneth and Bourdieu, though they employ the same notions of symbolic struggles, may be derived from their different perspectives of introducing universal values as social facts. In contrast to Honneth, who regards symbolic struggles as intersubjective interactions of interpretation, Bourdieu describes these competitions as a process of constructing societal values. Even though Honneth considers the unequal relations of social members, his assertions fail to explain the justification of the universal values that people should follow for developed lives. Therefore, in the sociological field, symbolic struggles, and cultural movements resulting from these efforts, are better to be treated as internal movements of dialectics between the field and habitus for not being another sacrifice of modern Enlighten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