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본권 관련 헌법재판소 판결 성향 분석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와 교육을 받을 권리를 중심으로
Constitutional Court Case Studies related to Social basic rights : Focused on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 주제(키워드) 사회적 기본권 , 헌법재판소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 교육을 받을 권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임지봉
- 발행년도 2015
- 학위수여년월 2015.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5610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 기본권과 이에 속하는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및 교육받을 권리에 대한 주요 내용 및 헌법재판소 판결에 대한 연구를 해보았다. 사회적기본권은 현대복지국가에 와서 성립된 기본권이며, 사회국가적 간섭과 생존배려 및 국가의 적극적 형성에 의한 것으로 그 규범내용이 아직은 추상적이고 불명확한데다가 권리형식으로 규정된 기본권이므로 헌법상 권리로서 보장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본권의 경우 무엇보다도 헌법재판을 통한 구체화 및 그 보장범위 확정에 의해 보다 더 완성적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1988년 우리 헌법재판소가 발족 한 이후의 사회적 기본권과 관련된 판결 성향을 짚어보고 분석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사회에서의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화 및 규범력 실현을 위해서 상당히 중요하다. 헌법재판소가 사회적 기본권의 규범내용 및 보호영역에 관하여 결정을 내리게 되는 경우 규범내용의 구체적 확정과 확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실에서 국가가 이를 실제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강제하게 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헌법상의 경제 질서 상의 평등한 경제제도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소가 진보적인 입장에서 정책과 입법에 대한 비판을 하여야 하며, 이러한 이유에서 헌법재판소는 사법적극주의 입장을 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는 오직 소수자 및 약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순히 법리적인 측면에만 얽매일 것이 아니라,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국가 정책 또는 입법과 관련한 합리적인 합의점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또한 헌법재판소는 판결을 통하여 혼잡한 사회분위기에서 입법부와 사법부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그 선도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측면에 있어 법률에 생명을 불어넣는 사법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소신 있게 수행하여 헌법 수호자의 임무를 다 하여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In this thesis, it treats a study of Constitutional Court ruling of basic human rights. Which is focused on the rights for live like a human being and right to education that are appertain to social basic rights. The social basic rights are established on modern welfare state. It comes from interference of national society, consideration for survival and aggressive formation of country. The social basic rights are defined as natural rights and its norm is abstract and not cleared yet. Accordingly it is up for discussion whether it is could be guarantee as constitutional rights. Therefore, incase of social basic rights could be brought to realization more completely with finalize its coverage and reify through the constitutional trial. Since 1988,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s started, it is main issue that reviewing and analyzing about propensity to judgments that relate to social basic right. And it is quite important matter to find a shape of social basic rights and realize power of the rule in future this society. This because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 on the norms of social basic rights and range of protection, it could be effective to concrete expansion on contents of norms. Not only the country would let it bring to real by force, it would make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Consequently, to care the second-class citizen and to archive the equitable economic system that stated in constitution, Constitutional Court must criticize the policy and the legislation as progressive stance. Thus Constitutional Court has to be taking a stance of judicial activism. And it should be able to use only for protect the rights of minority and the week. Also should not bound in juridical way, through the continued research about social basic rights, ought to find out reasonable middle ground that related to national policy or legislation. Furthermore, through the decision of the court,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taking a leader role. Which is legislative and judiciary and must take in congested societies. Constitutional Court has to do their best for work out the duty to being a bastion of the constitution as a judicial agency that stimulate the legislation by interpret and apply the raw.
more